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 활동에 의한 하천 환경의 변화는 통합적 관점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생태시민성 함양의 토대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 활동에 의한 하천 환경 변화 및 그 환경적 영향이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학교급별로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 주제의 교수・학습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고등학교『통합사회』 과목에서는 인간중심주의 자연관의 사례로, 『한국지리 탐구』 과목에서는 도시화로 인한 자연환경의 변화 사례로서 복개하천이 활용될 수 있다. 학생들의 ‘복개’ 개념 이해와 구조물의 영향에 대한 추론을 돕기 위해서 겉보기 방식의 시각자료보다는 복개 하천의 지상과 지하가 동시에 확인되는 하천 횡단면도를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탐구 과목에서는 지도 상에서 하천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는 활동을 단초로 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하천 환경 변화를 분석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지리교육 수업에서 학습자료 및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Understanding human modifications of river environment requires an integrated perspective and forms the basis for fostering ecological citizenship. This study reviews how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ed in 2022 addresses changes in river environments induced by human and their environmental impacts across different school levels.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such content to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In both the high school subject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Inquiry into Korean Geography』, culverted rivers can be used to illustrate anthropocentrism and urbanization-induced changes in the environment, respectively.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ulverting’ and help them to infer its impact on rivers, it is proposed to provide simplified cross-sectional diagrams of culverted rivers that depict both surface and subsurface features simultaneously,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visual materials such as aerial photograph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an inquiry-based activity that begins by identifying the presence of rivers on the map, leading to an integrated analysis of changes in river environ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references in geography education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