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이슈리더십의 하위 3요인 (이슈 창안, 오디언스 몰입, 이슈실행)을 명확히 구분하여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문제해결과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조직기반 자긍심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리더와 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의 메커니즘을 탐색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 405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 AMO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이슈 창안, 오디언스 몰입, 이슈 실행 모두가 조직구성원의 조직기반 자긍심에 정(+)의 영향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조직기반 자긍심이 구성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과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창의적인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으로 미치는 반면에 조직일탈행동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끝으로, 이슈리더십과 창의적 문제해결과 조직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결과는 창의적 문제해결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으로 매개하는 반면에 조직일탈행동에 대해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슈리더십의 통합 개념을 하위요인별로 세분화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조직성과에 이르는 연결 매커니즘을 밝혀냄으로써 이슈리더십의 선행연구와 조직행동연구를 확장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슈리더십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이론적 시사점을 토의하였다.


This study conceptualized three factors of issue leadership and empirically tested what effects they have on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Setting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s a mediating variable, we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To test the hypotheses, data collected from 405 office workers working in domestic compani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AMOS,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showed that issue creation, audience commitment and issue execu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It is found that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positively influenc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while negatively influenced on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We also found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We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and found that no significant effect for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This study expands existing leadership research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effects of issue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the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