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초기 신분제 논쟁은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둘러싼 시대 구분 논쟁의 일부로 진행되었다. 한영우가 조선 건국을 ‘發展史’로 설명하려는 의지에서 ‘양천제설’을 제기했다면, 이성무는 역사가 繼起的으로 발전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4신분제설’을 고수하였다. 한영우는 조선 건국 전후의 개혁 운동이 중요한 변화를 불러왔으며, 조선이 고려보다 ‘개방적인’ 사회가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양천제설은 3차 교육과정 때 국정 교과서에 반영되면서 그 영향력을 확대해 갔지만, 3차 󰡔국사󰡕 교과서에는 신분제 변화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될 수 있는 요소가 다수 포함되었다. 이후 5차 󰡔국사󰡕 교과서에서 4신분제설을 채택함에 따라, 4신분으로 구성된 신분 구조가 전면에 등장하였다. 교과서에서 고려의 법적 신분제가 양천제로 소개되면서부터는 고려와 조선의 신분 구조가 매우 비슷한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사실 고려와 조선에서 신분제의 원리는 동일하였다. 나라의 民을 良ㆍ賤과 班ㆍ常으로 구분하는 두 구획선이 늘 공존하면서 상호작용하였다. 조선에서 ‘양인층의 신분적 등질화’가 한층 진전되었지만, 이는 지배층의 이해관계와 상충하는 변화였기에 단기간에 순조롭게 진행될 수 없었다. 양인층 내부의 균등ㆍ평등을 지향하는 변화가 진행되는 한편에서, 그러한 변화를 제약하며 불균등ㆍ불평등을 유지하려는 힘도 작용하고 있었다. 두 힘의 상호작용이 신분제에서 변화의 측면과 지속의 측면을 만들어냈다. 신분제 변화를 학습할 때는 변화의 장기적인 추세를 의식하되, 그 안에서 발생한 여러 행위 주체 간의 상호작용에도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특히 특정한 변화의 흐름과 역행하는 움직임을 학습함으로써, 역사가 현재를 향해 일직선으로 발전하지 않았음을 이해할 수 있다. 신분제는 사회 안에서 각자의 위상과 관련된 문제이므로 변화에 대한 저항이 더 심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분제에 변화가 나타났다면 무엇이 그것을 가능하게 한 것인지, 각 시대의 신분제가 존립한 정치ㆍ경제ㆍ사회ㆍ사상적 환경을 고려하면서 그 답을 찾아가는 학습 경험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In the 1980s, Korean history textbooks highlighted significant societal changes driven by pre- and post-establishment reform movements in Joseon, including shifts in the status system. Joseon was depicted as offering greater social mobility compared to Goryeo. By the 1990s, textbooks began emphasizing the enduring aspects of the status system, particularly emphasizing a four-class structure, which persisted in subsequent editions. The introduction of the Goryeo legal status system as the ‘Yang-cheon( 良賤 ) system’ underscored parallels between Goryeo and Joseon. Fundamentally, the principles of the status system remained consistent between Goryeo and Joseon. Although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yangin( 良人 ) became relatively standardized in Joseon, resistance from conflicting interests within the ruling class impeded smooth progress. While efforts for equality within the yangin class were underway, opposing forces sought to maintain inequality. The interplay between these dynamics led to both change and continuity in the status system. When examining changes in the status system, it’s crucial to consider long-term trends and interactions among various agents. Studying movements that counteract specific changes, especially, helps us understand that history doesn’t progress linearly toward the 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