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려사』는 황제의 역사[本紀]와 신료들의 역사[列傳]을 중심으로 서술된 역사책, 곧 기전체(紀傳體)의 정사(正史)라고 호칭(呼稱)되지만, 황제의 역사는 없고 황제가 분봉(分封)한 제후국(諸侯國) 역사인 세가(世家)가 본기로 대체되었다. 그 사연을 알아보기 위해 고려왕조의 국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918년 왕건(王建)이 장군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여 칭제건원(稱帝建元)하였다고 하지만, 칭왕건원(稱王建元)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고려가 문물제도를 정비할 때 전범(典範)으로 당제국(唐帝國, 618~907)의 경우 광활한 강역(疆域)의 확보, 지배체제의 정비, 사회질서의 안정, 경제의 발달, 전통문화의 융성, 그리고 동서문화의 중심지였다는 점에 의해 황제국의 표본이 되었고, 이로 인해 후일 제국으로 명명되었을 것이다. 이에 비해 고려는 이전 왕조인 태봉국(泰封國)이 교류하였던 오대십국(五代十國, 902~979)의 오월국(吳越國, 907~978)과 민국(閩國, 909~945)의 외교정책을 모방하였던 것 같다. 곧 오월과 민은 당시의 시세의 변화에 따라 칭제건원하다가 약체화되었을 때는 번국(藩國)으로 납공사대(納貢事大)를 행한 미완성(未完成)의 황제국, 또는 소제국(小帝國)으로 존속하였다. 이들의 정치행위를 목도하던 궁예(弓裔), 견훤(甄萱), 그리고 왕건도 십국이 취했던 체제, 외교방식 등을 본받아 내제외왕(內帝外王)의 체제를 표방하였던 것 같다. 그렇지만 13세기 후반 몽골제국의 지배질서 하에 편입되어 제후국으로 강등되었고, 뒤이어 등장한 명제국에도 사대외교를 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형편으로 인해 명제국(明帝國)에 잘 순치(馴致)된 제후국(諸侯國)을 자처하고 있었던 15세기 조선왕조의 위정자들은 자신들의 현실인식을 『고려사』의 편찬에 당시의 국제적 사정을 그대로 반영시켜 『고려사』의 편찬에서 본기(本紀)를 설정하지 아니하였던 것 같다. 그래서 『고려사』는 본기가 없는 불완전한 기전체의 사서라고 할 수도 있고, 이 약점이 역사 연구에서 강점(强点)으로 작용할 수 있는 사서로 평가될 수도 있다. 곧 제국(帝國)임을 표방했던 중원의 정사[二十五史]에서 인근 국가와의 접촉, 교섭에 대한 각종 사실은 국가, 민족, 지역 등의 호칭(呼稱)으로 열전편(列傳篇, 外夷列傳)에 수록되었는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시기의 정리[編年]가 연월(年月), 또는 연도(年度)만이 제시되었고, 일진(日辰)이 표기되지 않았다. 이에 비해 『고려사』는 외이열전(혹은 外國列傳)이 편찬되지 않았기에 인근의 국가, 민족, 상인[客商] 등의 내왕(來往), 접촉, 교류 등이 모두 세가편에 기록되었기에 편년(編年)이 잘 될 수밖에 없고, 그 年月日의 정리에 착오[繫年錯誤]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체제상으로 미비한 점이 있는 『고려사』는 당시 사회의 실상을 더욱 명쾌하게 밝힐 수 있는 생산적 결과[効果]도 제공할 수 있다. 또 『고려사』의 가장 특징적인 면의 하나가 여타의 사서에서 볼 수 없는 특정 외교 관계의 사료가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들 외교문서는 당해 왕조의 정사에서는 수록되어 있지 않은 유일한 자료이기에 역사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발급 시기에 만들어진 구어(口語)로 되어 있어 당시의 언어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고려사』는 內陸Asia의 거란, 여진, 몽골족이 발흥(勃興)할 때 그들과 접촉, 교섭했던 사실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유목제국으로의 성장 과정을 잘 살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남아시아의 인도, 남서아시아의 Arab, Ilkhanate, 남동아시아의 琉球 등과의 국가 차원의 교섭, 승려, 상인, 개인 등의 접촉에서 그 시기가 구체적 명기(明記)된 기사가 수록되어 있기에 여타의 사서(正史)에 비해 우월한 자료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History of Goryeo (高麗史) is a history book that focuses on the history of emperors and courtiers. Although it is designated as a formal annalistic form, there is no account of the emperors' history. Instead, the history of feudal lords divided by the emperor, known as Sega (世家), is used in place of bon-gi (本紀).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ational status of the Goryeo Dynasty. It is said that in 918, Wang Geon ascended to the throne with the endorsement of his generals, adopting the title of emperor and establishing an era name (稱帝建元). However, it is likely that he was referred to as a king and instituted an era name (稱王建元). When Goryeo overhauled its system of civilization, it took the Tang Empire (唐帝國, 618-907) as a model. The Tang became a model of the imperial state because of its vast territorial area, the establishment of the ruling system, the stability of the social order,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e flourish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fact that it was the center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which would have led to its later designation as the Empire. In comparison, Goryeo seems to have imitated the foreign policy of Wu Yue (吳越國, 907-978) and Min (閩國, 909-945) of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五代十國, 902-979), with which the previous dynasty, Taebong (泰封國), interacted. Wu Yue and Min continued to exist as an incomplete small empire (小帝國), calling the monarch the emperor and establishing an era nam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n paying tribute to the big country as a feudal lord when their power weakened. It seems that Gon Gye(弓裔), Gyeon Hwon (甄萱), and Wang Geon (王建), who witnessed their political activities, imitated the system and diplomacy adopted by the Ten Kingdoms, and advocated a system of calling the emperor at home and the king abroad. However, in the late 13th century, they were incorporated under the ruling order of the Mongol Empire and were relegated to the status of princely states. Later, they were compelled to submit to the Ming Empire(明帝國). Due to this situation, it seems that the rulers of the 15th century Joseon Dynasty, who considered themselves princely states following the Ming Empire, did not establish a bon-gi (本紀) in the compilation of History of Goryeo, reflecting their perception of reality as it was at the time. Therefore, History of Goryeo can be described as an incomplete historical record in annalistic form without bon-gi. However, this weakness can also be viewed as a potential strength in historical research, making it a valuable historical document. In the formal history of China, which proclaimed itself as an empire, various facts about contacts and negoti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were recorded in the Biographies (列傳篇) under the names of countries, peoples, regions, etc. Except in special cases, only the year and month(年月) or year(年度) were provided, and the sexagenary cycle(sexagenary cycle) was not indicated. On the contrary, History of Goryeo holds the advantage that, since the Biographies of Foreign Countries (外國列傳) has not been compiled, the comings, contacts, and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peoples, and merchants are all documented in the Sega. Consequently, the chronological record (編年) is likely to be accurate, and there are minimal errors in arranging the year, month, and day. Therefore, despite its deficiencies in the system, History of Goryeo can yield productive outcomes, shedding clearer light on the societal realities of that time.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History of Goryeo, not found in other history book, is the inclusion of specific diplomatic documents. These diplomatic records are not only historically significant as the sole materials excluded from the formal history of the dynasty at that time but are also crucial for studying the language of the period since they are written in spoken language, reflect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at era. In addition, History of Goryeo extensively documents Goryeo's contact and negotiation with the rising Khitans, Jurchens, and Mongols in the interior of Asia,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the growth process of nomadic empires. At the same time, History of Goryeo contains articles that specify the periods of national-level negotiations and contacts with India in South Asia, Arabs in Southwest Asia, the Ilkhanate in Western Asia, and the Ryukyu Kingdom (琉球) in Japan. These articles cover interactions with monks, merchants, and individuals, making it a superior source compared to other formal hi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