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상이한 정치적 이념을 대표하는 다양한 정치적 주체들이 공통적으로 서민 친화적 이미지를 추구하는 경향에 주목하여, 그들의 이러한 시도가 실질적으로 유권자의 선호와 선택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시행된 2022년 「정치인식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후보/정당이 가난한 사람들 편이라고 생각하는지, 부자들 편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과 이들에 대한 호감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OLS 회귀분석 결과, 후보/정당이 가난한 사람들 편이라고 인식할수록 상대적으로 호감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응답자의 계층에 따라, 후보/정당에 따라 이질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응답자의 객관적/주관적 계층이 하층에 가까울수록 이재명 후보 및 더불어민주당이 부자들 편이라는 인식이 호감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난 대선에서 계층 관련 이슈가 핵심 의제로 크게 떠오르지 않았지만, 유권자들의 인지적․감정적 차원에서 계층문제는 정치적 선호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으로 이를 어떻게 정치적 쟁점의 차원으로 전환하고 효과적으로 동원할 것인가 하는 과제에 있어 정치권과 시민사회에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began by focusing on the tendency of various political actors representing diverse political ideologies to commonly pursue an image of caring about the common people (or the poor). It explores whether their efforts in this regard have a substantive impact on voters' preferences and choices. To address this question, data from the 2022 Political Perception Survey conducted before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was used. An empirical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s' perceptions of whether candidates/parties are pro-poor or pro-rich and their favorability towards these candidates/parties. The results of the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a tendency for higher favorability when voters perceived the candidates/parties as pro-poor. However, this influence varied heterogeneously based on the respondents' socio-economic strata and the candidates/parties themselves. Respondents closer to the lower socio-economic strata exhibited a relatively stronger negative impact on favorability when perceiving candidate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as pro-rich. While issues related to socio-economic strata did not prominently emerge as core issues in the previous election, these research findings illustrate the significance of socio-economic considerations in voters' cognitive and emotional dimensions, acting as crucial factors in political preferenc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findings extend to politicians and civil society, offering insights into the task of transforming these considerations into dimensions of political contention and mobilizing them effectivel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