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삼불은 1941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 해방 후인 1946년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이병기를 사사한 인물로 조선문학 연구사에 뚜렷한 흔적을 남기고 있다. 특히 그는 판소리 연구 분야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월북학자”라는 이유로 그에 대한 연구는 소략한 형편이다. 여러 업적 중에서도 이 글은 김삼불 교주본『해동가요』에 주목하여 그 특성을 검토해 보았다. 『해동가요』는 해방기 간행된 시조 교주본으로서 이본 대교 의식은 물론 시조 어휘에 대한 정치한 주석까지 겸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자료다. 이에 먼저『해동가요』의 서발문과 자서를 중심으로 교주본 편찬의 계기와 의식을 검토하였다. 이어서는『해동가요』에서 보여준 그의 성과를 이본 대교와 시조 주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김삼불의 시조 교주 작업을 해방기 시조 연구 방법론의 확장과 모색의 측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Kim Sambul(金三不) graduated from Yeon-hui College in 1941. In 1946, he entere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studied under Lee Byung-ki. In addition, he has left a clear mark on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research.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field of pansori research. However, his research on him is insignificant because he moved to North Korea. Among the many achievements,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Haedong-gayo(海東歌謠)』, which was written by Kim Sambul, and examined its characteristics. This book shows a sense of comparison of the sijo texts publish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t is also a material that is noteworthy in that it served as a detailed commentary on the sijo vocabulary. Focusing on an epistolary sentence and auto preface, the momentum and consciousness of data compilation were reviewed. Subsequently, his achievements at the 『Haedong-gayo(海東歌謠)』 were divided into text comparison and sijo annotations. As a result, the comparison and exploration of the sijo of Kim Sambul could be evaluated as an achievement that showed new possibilities in terms of the expansion and search of the sijo research methodolog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