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榎楚, 扑, 枝敲, 楚橽, 夏楚 등으로 불린 회초리가 교육 장면에서 사용된 실제 사례, 회초리 사용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회초리 사용의 기능과 목적, 내용을 통해 유가 교육에서 형벌의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정에서 회초리는 꼭 동몽에게만 한정되어 사용되지 않았다. 성년이 지났어도 회초리를 맞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가르칠 때 회초리를 사용하는 목적은 부끄러움을 알게 해 자신을 가다듬고 스스로 자신의 부족한 점을 깨우치게 함이었다. 한편 국가 차원에서 성균관에서 향교 및 서당에 이르기까지 성적이 불량할 경우 회초리로 징계한다는 규정을 마련하고 이를 실시했다. 수령이나 교관이 회초리를 남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국가가 미연에 방지하고자 했다. 이는 회초리 사용이 사적인 행위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공적인 행위임을 서로가 암묵적으로 인식하게 해준다. 회초리 사용은 회초리를 맞는 이가 때리는 이의 뜻을 새김질하여 스스로 자신을 반성하고 행동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맞는 이의 타고난 기질에 따라 그 효과가 달랐을 것으로 추측된다. 무엇보다 회초리 사용이 교육적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회초리를 때리는 이의 덕행이 높아야 한다는 것이다. 무조건 엄격하게 회초리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회초리를 사용하는 이의 너그러움(자애로움)과 사나움(엄격함)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것이 중요했다. 회초리 사용은 敎學相長 또는 師弟同行을 실천하기 위한 한 가지 방식이었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actual cases of the use of canes called gacho(榎楚), bok(扑), gigo(枝敲), chodal(楚橽), and hacho(夏楚) in educational contexts, the perception of their use, and their meaning. By examining the function, purpose, and content of the use of canes,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nature and meaning of punishment in Confucian education. At home, the hacho was not necessarily used only for infants. This is because there were still cases where individuals were whipped even in adulthood. The purpose of using hacho in teaching was to make people aware of their shame, to refine themselves, and to perceive of their own shortcomings. On the other hand, at the national level, in institutions ranging from the Sungkyunkwan to hyanggyo and seodang, regulations were implemented such that individuals with poor grades, would be disciplined with hacho. The state wanted to prevent the misuse of the canes by the leaders or teachers. This implicitly recognizes that the use of hacho was not a private act, but a public act. The use of hacho had the effect of allowing those who were beaten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improve their behavior taking the intention the beaters to heart. In reality, however, it is speculated that the effect may have varied depending on the innate temperament of the person who was hit. Above all, in order for the use of it to have educational significance, the character of the person who performed the beating needed to be high. Te canes was not always used strictly, but that it was important that the person who used it should balance generosity (benevolence) and ferocity (severity). This study shows that the use of the whip was a way of practicing kyohaksangjang(敎學相長) or compan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upils[(師弟同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