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들이 인식하는 조직 핵심인재 역량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검토를 거친 후 구조적인 질문과 비구조적인 질문으로 인터뷰 및 설문 문항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오프라인 인터뷰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직장인 13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R 4.3.2를 활용해 서술형 응답 내용을 텍스트 파일로 변경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키워드 빈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시각화하였다. 이후 TF-IDF 가중치 비교분석을 통해 조직 규모별 답변에 대한 키워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N-gram 의미망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단어쌍을 추출하고 분류한 후 응답한 인터뷰 내용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장인들이 인식하는 핵심인재의 역량은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역량, 창의력, 의사소통역량 등으로, 이러한 역량들이 프로젝트 수행과 업무를 할 때 기여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ompetencies of organizational core talents as perceived by employees. To achieve this, interviews and survey questions were created through a review of prior research, using both structured and unstructured questions. Subsequently, data from 134 employees, excluding insincere respondents,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interviews and online surveys. The analysis utilized text mining techniques, a big data analysis method, and was conducted by converting descriptive response content into text files using R 4.3.2. The research methodology began with a keyword frequency analysis, followed by visualization through cloud analysis. Then, a keyword difference analysis between organization sizes was conducted using TF-IDF weight comparison, and meaningful word pair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through N-gram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interview content provided as examp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employees perceive the core competencies of core talents to include problem-solving abilities, critical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kills, recognizing their contribution to project execution and work task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ts significanc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