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적한 촌락이었다가 일제 강점기에 철도 교통 개설과 함께 성장하여 광복 이후 활발한 상업 지역으로 발전하였고 여전히 당신의 도시적 구조와 시장가의 모습을 가진 익산시 인화동의 구시장거리와 한복거리 일대를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생활문화와 공간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간적으로 투영되어 간 흔적과 문화와 공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135개 상가의 상호와 업종, 그리고 공간 배치를 복원할 수 있었다. 점포의 유형은 다양하였으나, 한복, 이불, 잡화, 의류와 관련된 점포가 약 34.8%를 차지하는 높은 비율을 보여 현재 한복거리의 장소성이 오랜 기간 형성되어 온 것이 확인되었다. 분석 과정에서 점포의 배치가 임의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유사 업종끼리 근거리에 형성되어 공간적으로 그룹화된 것이 드러났는데 이는 오랜 시간에 걸쳐 자연스럽게 형성된 상업 가로임에도 어떤 조건에 따라 배치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본 연구는 그 배치의 조건을 우리나라 전통의 혼례문화와 장례 문화에서 찾을 수 있었다. 먼저, 혼례문화와 관련하여 연구 대상 지역의 점포와 이 혼례 물목의 준비과정을 대비한 결과 공간의 동선 연계와 점포들의 배치가 정확하게 일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장례문화는 ‘늘도가’라는 곳의 배치와 관련하였으며 그 원인을 지리와 입지의 특징, 우리나라 고유의 장례 문화, 일제 강점기부터 이어온 지역 환경에서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he Korean living culture was spatially projected in the old market street and Hanbok street in Inhwa-dong, Iksan-si, which was a village, grew with the opening of railway transport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developed into an active commercial are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nd still has its own urban structure and market stree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could be reconstructed the names, businesses, and layout of 135 shops. The types of shops varied, but a high proportion of shops related to the Hanbok, bedding, miscellaneous goods, and clothing accounted for about 34.8%, confirming that the sense of place of the current Hanbok Street has been 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course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lacement of shops was not arbitrary, but that similar shops were spatially group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which means that even though it was a commercial street that was naturally 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was placed according to certain conditions, and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e conditions for placement in Korean traditional wedding and funeral culture. First, in relation to the wedding culture, we compared the shops in the study area with the preparation process for wedding items and found that the spatial connections and arrangement of the shops matched exactly. Next, the funeral culture was related to the arrangement of “Neuldoga”, and the reasons for this were found in the geography and site characteristics, Korea's unique funeral culture, and the local environment inherited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