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의 문호개방에 따른 80년대의 동양학 붐, 전(全)국민건강보험의 실시, IMF 이후 찾아온 의료계열 열풍 등으로 2000년대까지 의대를 넘어선 인기를 구가하던 한의계에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의료계에 반복되던 실체 없는 위기론과는 달리 최근 한의계의 언설에는 실체가 있어 보인다. 4프로 대를 유지하던 건강보험점유율은 2021년에 2프로 대로 추락한 바 있고, 양방과 치과의 꾸준한 성장과 대비되게 경제적으로도 침체의 늪에 빠져 있다. 양방과 치과에 대한 ‘상대적 위기’가 좀 더 정확한 표현이겠지만, 첩약시장을 잠식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 양방 위주의 실손보험 영역의 확대, 감염병 관리주체인 한의사가 배제된 정부의 코로나팬데믹 대처 등을 보았을 때 한의계의 이러한 우려는 수긍 가는 면이 없지 않다. 필자는 한의계의 위기설을 한국의료의 전체 맥락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한의학의 역할 감소가 눈에 띄는 트렌드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는 이원화체제 하의 한국의료의 지형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서양의학의 대항추 역할을 해온 한의학의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한국사회는 생기술에 의해 서서히 포섭(biotechnically embraced)되어 가고 있다. 더불어 건강영역에 있어 과학주의 환원론(還元論)은 범람한다. 필자는 이러한 한국의료의 현실을 우려스럽게 바라보며 한의사의 역할을 재규정함으로써 이러한 불균형을 시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한의계의 개혁을 중요한 과제로 제시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의 상부구조의 역할을 한 도그마에 기반한 유의(儒醫)적 고전주의 전통에서 탈피하여 하부구조를 이루는 과학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리고 이 작업에 불교의 자각론(自覺論)과 생태주의가 사상적 길잡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자각 중심의 태도는 임상추론의 귀납적(歸納的) 특성을 강화하여 현대의과학과의 접목을 가능케 하며 생태적 접근은 과학주의 환원론을 극복하는 데 도움 줄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과감한 개혁을 통해 한의학이 현대과학의 체계 내에서 자기완결성과 외부확장성을 가진 학문으로 거듭날 때 미래지향적인 한국적 신(新)의료의 모습도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이를 위해 이해당사자들에게는 행정편의주의와 직역이기주의를 넘어서는 태도가 그리고 당국자들에게는 의료이원화제도를 부담이 아닌 자산이라고 여기는 인식이 요구된다 하겠다.


Korean medicine is a Korean form of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whose mainstream status has allowed it to be considerably biomedicalized in the form of institutional structures while maintaining an identity distinct from its Western counterpart. Therefore, its practitioners, or KMDs, are trained on what is called the superstructure of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and on the infrastructure of biomedicine under the country's dual medical licensing system, by which MDs and KMDs have comparable sociolegal status. This paper is an attempt at analyzing the “crisis” that the KM community has encountered recently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rise of the health supplement markets and expansion of private medical insurance that hugely favored MDs. It concludes that for the Korean healthcare to counter the increased “biotechnical embrace” and the associated overflowing of reductionist tendencies in healthcare, the authorities should utilize Korean medicine wisely as a counterweight to balance biomedical excess rather than obliterate it through license unitarization. Arguing for the necessity of extensive reforms in the KM community, this paper proposes Buddhist principles of self-realization and ecological thinking as guides for its reform. It claims that the community should shed its reliance on Confucianist dogmas and focus on deepening its scientific basis so that Korean medicine develops into a form under which it shares its foundation with Western medicine but carves out its own identity as a medicine specializing in immunity. This study introduces clinical cases to support this argument and suggests curriculum reform as a way to achieve this obj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