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역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은 동아시아에서 예로부터 현상적인 측면[事]에서는 7처(處)에서 설해진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 글은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그 대안으로 6처설을 주장하였다. 그 요지는 7처설의 7처 중에서 제1회의 처인 마갈제국 적멸도량 보리수 아래 사자좌와 제2회 등의 처인 보광법당 연화장사좌자가 동일한 처인 ‘마갈제국 적멸도량 보리수 아래 보광법당 연화장사자좌’의 두 가지 표현일 뿐이며 따라서 『대방광불화엄경』은 7처설이 아니라 6처설로 보는 편이 『대방광불화엄경』의 맥락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7처설은 지엄 등의 초기 화엄교학 이전에 이미 동아시아에서 『대방광불화엄경』 설처의 표준적인 이해였던 것으로 보이며 초기 화엄교학 또한 이 7처설을 받아들여 보리수 아래 사자좌와 보광법당을 별도의 처로 규정한다. 아울러 초기 화엄교학은 7처설이 되기 위한 관건인 보광법당의 위치와 성격 등에 대해서 독자적인 해명을 시도한다. 이에 따르면 보광법당은 보리수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용이 지은 것 또는 용의 위호를 상징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글은 보광법당이 보리수와 동일한 처이며 그 정체는 용과 관련된 것이라기보다 비로소 깨달음을 이룬[始成正覺] 부처가 내는 광명의 발원지를 일종의 건물로 상징 ․ 형상화한 것이라는 설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보광법당을 이해하여 6처설에 입각한다면 『대방광불화엄경』에서 부처의 본래 경계를 설하는 제1회와 중생의 믿음을 설하는 제2회와 깨달음의 경계를 설하는 뒷부분(『대방광불화엄경』 진본晉本은 제6회 일부 및 제7회, 주본周本은 제7, 8회)이 모두 한 자리에서 펼쳐지는 것이 된다. 이와 같다면 『대방광불화엄경』의 설처를 통해서도 부처와 중생과 깨달음이 본래로, 구래로 동일한 한 자리라는 화엄교학의 여래성기(여래출현)를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hinese Buddhāvataṃsūtra has long been construed in East Asia as having been expounded in seven distinct locations (處). This article aims to challenge this traditional understanding and proposes the six-place theory as an alternative framework. A central contention emerges from an examination of the seven-place theory, specifically pertaining to the initial location, which is the lion's throne beneath the Bodhi tree at the Nirvana Temple (寂滅道場) in Magadha, and the second location, which is the lion's throne adorned with lotus flowers situated in the Dharma Hall of Universal Light (普光法堂), asserting that these constitute dual expressions of the same locus. Consequently, it is contended that the Buddhāvataṃsakasūtra is more aptly apprehended through the lens of the six-place theory, diverging from the prevailing seven-place paradigm, thereby aligning with the contextual nuances intrinsic to the Buddhāvataṃsakasūtra. The seven-place theory appears to have entrenched itself as the prevailing conceptualization of the Buddhāvataṃsakasūtra's location in East Asia, predating the early Huayan thoughts articulated by Zhiyan (智儼) and his successors. Moreover, early Huayan thoughts endorsed the seven-place theory, endeavoring to furnish a distinctive explication of the Dharma Hall's locale and identity—a pivotal element in the formulation of the seven-place theory. In essence, early Huayan thought conceived of the Dharma Hall as situated slightly apart from the Bodhi Tree, positing its construction by a dragon or its symbolic association with draconic protection. However, this article proposes an alternative perspective, positing that “the Dharma Hall” and “the Bodhi Tree” are synonymous, with their identities disassociated from draconic symbolism. Instead, the Dharma Hall is advanced as a symbolic and visual representation of luminous emanations following the Buddha's enlightenment, manifesting in architectural form. If one comprehends the Dharma Hall in this manner and embraces the six-place theory, the inaugural assembly in the Jin dynasty edition (晉本) explicating the original realm of the Buddha, the subsequent assembly elucidating the faith of sentient beings, segments of the sixth assembly, and the seventh assembly (the Zhou dynasty edition, 周本, serving as the seventh and eighth assembly) illuminating the bounds of enlightenment converge into a singular location. If articulated in this manner, the interpretation may be construed as an exposition of Huayan thoughts concerning the Manifestation of the Tathāgata. This posits that the Buddha, sentient beings, and enlightenment are fundamentally and intrinsically synonymous within the context of the Buddhāvataṃsakasū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