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비혼모의 출산과 양육 경험을 주제로 수행한 질적메타종합 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비혼모들의 복지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새로운 실천 아젠다를 발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CASP를 활용하여 질적 연구물 12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질적 연구물은 EAVS(2001)에 의해 제기된 근거이론 종합방법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6개의 하위주제, 45개의 중심주제, 15개의 핵심주제가 도출되었다. 비혼모의 출산, 양육 경험은 ‘자기 몫을 박탈당한 숨어있는 존재의 비혼모가 연대와 자기 임파워먼트를 통해 가족의 삶을 구축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몫 없는 존재 유보와 심리적 유폐, 사회적 연대, 경제적 자립, 자기존재의 성숙에 대한 논의를 했으며 비혼모를 지원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meta-comprehensive study of unmarried mothers on the theme of their experiences of childbirth and child-rear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over a new action agenda for improving the welfare and quality of life of unmarried mothers. Researchers included 12 qualitative studies using CASP. The final qualitative studies select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synthesis method proposed by EAVS(2001). As a result, 125 sub-themes, 45 central themes, and 15 core themes were derived. The experience of giving birth to and raising a child of an unmarried mother can be described as "the process of a hidden unmarried mothers deprived of her share and building a family life through solidarity and self-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discussed the reservation of existence without a share and psychological deprivation, social solidarity, economic independence, and maturity of one's own existence made suggestions to support unmarried m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