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독서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사회적 독서의 개념에 대해 관심을 갖고, 국어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사회적 독서의 개념에 대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들은 사회적 독서가 텍스트를 매개로 한 타자와의 소통을 전제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적 독서는 ‘자기와 세계의 변화와 성장’, ‘삶과 연계된 담론의 형성과 실천’, ‘독서 문화의 창조와 생활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적 독서가 사회적 차원에서 학생의 질적 성장을 견인하며, 더 좋은 사회 공동체를 지향하도록 만드는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또 이를 통해 비판적 문식성 교육, 주도성 교육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reading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oncept of social reading as perceived by teachers. Teachers perceived that social reading presupposes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text. Based on this, they believed social reading enables “transformation and growth of self and the world,” “formation and practice of life-connected discourse,” and the “creation and practice of reading culture.” This indicates that social reading helps students develop into social members. It also reflects the expectation that social reading can lead to actions that improve well-being in society.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critical literacy and agency can be taught through social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