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칸트 철학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다양한 지류에서 비판받는다. 본 논문은 칸트가 부당하게 비판받고 있다는 입장에서 출발하였다. 칸트 철학은 포스트휴머니즘이 생각하는 것처럼 인간 외에 모든 것을 삭제하거나 모든 것을 철저히 주관화하는 철학이 아니라는 것이다. 칸트의 주요 저작인 세 비판서 중 마지막 저작이며 그의 비판철학을 완성하는 『판단력비판』에 특히 그러한 면모가 잘 나타나 있다. 『판단력비판』의 핵심개념인 ‘자연의 합목적성’을 중심으로 칸트의 사상을 살펴보며 본 논문이 드러내고자 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칸트의 철학에는 분명 인간(주관)이 그 중심에 있되, 인간이 다 파악할 수 없고 제어할 수 없지만 더불어 가야 하는 자연의 존재, 즉 인간과 무관하게 존재하지만 인간이 그에 의존해야 하는 자연에 대한 의식이 매우 중요한 전제로 놓여있으며, 더 나아가 인간은 이 자연과 상호작용을 한다. 이는 특히 『판단력비판』의 서론과 제1부 취미판단의 이론에 잘 드러나있다.


It can be observed that Kant's philosophy is criticized in several strands of posthumanism. The present essay assumes that this criticism of Kant is unfair, because Kant's philosophy is not one that excludes everything except humans from the field of philosophy or that completely subjectivizes everything, as those posthumanistic tendencies claim. Human consciousness of nature underlies Kant's philosophy, which exists independently of humans, so that they can neither fully understand, nor fully control them. The humans recognize the independence of nature and consider their possible agreement with nature to be a happy coincidence. Kant's discussions of the term “purposiveness of nature” in the introduction and the first part of the Critique of Judgment show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