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중독 경향자를 대상으로 인간중심 상담의 치료원리에 근거하여 인간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계중독 경향자 6명과 전문가 4명을 대상으로 관계중독 경향자의 대인관계 경험과 효과적인 상담접근에 대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총 10회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관계중독 경향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치하고 사전, 사후 및 추수 시점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관계중독, 자기개념 명확성, 무조건적 자기수용, 고통감내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관계중독 경향자의 관계중독, 자기개념 명확성, 무조건적 자기수용, 고통감내력 수준에 대하여 인간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추수 설문이 끝난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인간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개입이 실험집단의 변화와 부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erson-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est its effects based on the therapeutic principles of person-centered counseling with a group of people with a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For these purposes, an in-depth interview on the interpersonal experiences of people with a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and effective counseling approaches with six people with a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and four experts before developing a ten-session program based on them.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20 people with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nd compared and analyzed at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point.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included scales on relationship addiction, self-concept clari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distress tolerance. The findings show that the experiment group that implemented the person-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relationship addiction, self-concept clari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distress tolerance as people with a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o test the generalization possibilities of the program, the person-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lso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at completed a follow-up questionnaire. The program intervention in the control group generated partially significant results compared with changes the experiment group. Finally, the study discusse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