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러시아표준어 발달사에서 19세기 말 처음 주목된 소위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은 발생 요인 및 시기, 해당 범위와 관여자 수 등에 관해 현재까지도 논쟁적인 연구 대상이다. 본고는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의 요인에 관한 대립적인 두 관점으로, 남슬라브어의 영향과 루시 내부의 자발성론을 고찰하였다. 러시아표준어 발달사 관점에서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의 가장 중요한 결과는 문어 내에서 최소한 상문어와 일상문어가 분화된 점이다. 범슬라브어적 교회슬라브어로 의도된 상문어가 의식적인 문어화를 통해 사용영역이 축소되고 사용자층이 얇아진 반면, 문어성과 비문어성에 모두 무표적인 일상문어는 사용영역과 사용자층을 확대하며 언어생활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의 출발 의도와 반대로 상문어가 폐쇄성을 띠며 언어생활의 주변으로 밀려난 반면, 일반문어는 상문어뿐만 아니라 비문어적 영역의 일부를 흡수하며 현대러시아 표준어의 시발점이 된 18세기 ‘단순러시아어’의 토대가 되었다. 본고는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의 결과가 문헌가들의 의도와 다르게 전개된 이유를 언어의 민주화에 역행하는 언어 개혁의 방향성에서 찾았다. 이와 비교하여 당시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며 세속화와 단순화를 목표로 한 표트르대제의 언어 개혁이 성공적이었던 점은 언어 개혁의 방향 설정과 실현 방식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so-called “second south Slavic influence”, which was first noticed in the late 19th century, is still the subject of controversial research regarding the factors and timing of its occurrence, its scope, and the number of people involved. This paper examines two opposing perspectives on the factors of “second South Slavic language influence”: one is the influence of the South Slavic language, and the other is the theory of spontaneity in Rus. As a result of the “second South Slavic influence,” the bookish language was divided into the high and common bookish language in the bookish language. the area of ​​use and user base of the high bookish language intended as a Pan-Slavic Church Slavonic is reduced through the conscious ‘oknižnenie’, while the common bookish language, which is both unmarked to the bookishness of high bookish language and non-bookishness of common bookish language, has expanded its scope of use and user base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center of language life. Contrary to the initial intention of the “second south Slavic influence,” the high bookish language became closed and was pushed to the periphery of linguistic life, while the common bookish language, absorbing not only part of the high bookish language but also part of the non-bookish language area, became “simple Russian language” in the 18th century,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Russian literary language. In this paper, the reason why the results of the “second south Slavic influence”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e intentions of literary scholars is seen in the direction of language reform, which runs counter to the democratization of the language. In comparison, the success of Peter the Great's language reform, which aimed at secularization and simplification by reflecting the actual linguistic life of the tim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of language re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