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sheds light on Tahrir Square, the place of revolution in ‘Alā’ al-’Aswānī's The Republic of False Truths(Jumhūriyyah Ka’anna). In the novel, starting with the January Revolution of 2011, Tahrir Square is remembered as a narrative symbolizing ‘freedom.’ This study focused on this narrative and examined the place called Tahrir Square in two ways. First, when narratives are added to Tahrir Square, the square transforms from a space with an address to a place with human experiences. Second,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narrative of Tahrir Square means resistance to existing power, Tahrir Square was highlighted by Foucault's concept of hétérotopie. As a result, we can see that Tahrir Square is a realistic space with heterogeneity, a specific fantasy demanding freedom and democracy, and above all, a space that seeks to realize such fantas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at will was put into practice through the revolution. Michel Foucault defines hétérotopie as keywords such as resistance to existing power, deviation, and outside space. The narrative of Tahrir Square also refers to resistance against power because it is resistance to existing power and the pursuit of something different and new. Considering these commonalities, it is meaningful to consider the narrative of Tahrir Square from the perspective of hétérotopie.


이 연구는 『가짜 공화국』에 재현된 혁명의 공간, 타흐리르 광장을 조명한다. 공간에 가치를 부여할 때 공간은 장소가 되는(이-푸 투안 2007, 15) 변이 과정을 살펴보고 기존의 것과 ‘절대적으로 다른 것’(푸코 2009, 13) 혹은 ‘반反공간contre-espaces’(푸코 2009, 13)인 헤테로토피아의관점에서 타흐리르 광장의 의미를 조명한다. 타흐리르 광장의 서사는 기존의 것과 구별되고, 주체를 해체하는 바깥 공간이자 반 공간의 의미로해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셀 푸코(Michel Paul Foucault)가 주장한헤테로토피아는 타흐리르 광장의 정체성을 밝히는 유효한 심상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공간의 서사를 주도하는 인물 아슈라프 위싸(’Ashraf Wīṣā)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3) 아슈라프 위싸의 이야기는 소설 전체 73개의 장 중 16개의 장으로 가장 많은 장을 차지한다. 그는 부르주아 계층의 콥트 기독교도로 혁명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다가 시위에적극 가담하는 아스마(’Asmā’)를 만난 후 타흐리르 광장의 시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아슈라프 위싸는 소설의 중심인물로 혁명참여에 대한 인식변화가 가장 뚜렷하고, 그러한 인식변화의 결과로 ‘헤테로토피아 공동체’(연효숙 2022, 111)에 참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그를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삼는다. 아랍 소설의 공간 연구로는 박재원의 “알라 알디브 소설의 공간-『레몬 꽃』을 중심으로”가 있다. 이 연구는 작품 제목인 레몬 나무를 소설의중심 공간으로 정의한다. 또한 주인공 인물이 수에즈에 거주하며 직장에다니면서도 늘 마음은 카이로에 있는 ‘몸과 마음의 불화’(박재원 2010, 32)를 드러내며, 사건 서술을 생략한 채 공간의 묘사가 주인공의 성격을구체화한다고 말한다. 『가짜 공화국』에 대한 학술 연구는 많지 않고, 김정아는 “알라 알아스와니의 『가짜 공화국』에 재현된 ‘아랍의 봄’”에서 이집트 혁명에 참여했던 인물에게 가해지는 국가폭력의 결과가 인물의 이주를 유도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