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밝히고, 자기효능감이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9월 23일부터 10월 8일까지 만18세∼24세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315명을 대상으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측정된 자료는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확인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유능성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대인관계 유능성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와 모의 개방형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와 모의 폐쇄형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도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기 후기이자 성인기 초기에 접어드는 만18∼24세인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변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들의 대인관계 문제에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의미있는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차이를 줄 수 있음을 토대로 상담 장면에서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개입방법과 치료과정을 통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whether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315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4 using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cal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measured data, and sobel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se mediating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ach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in terms of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wealth and simulation open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results shows tha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4 years old entering their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suggesting that communication with parents could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 addition, the level of self-efficacy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so intervention methods and treatment processes that increase self-efficacy in the counseling scene will help college students who are struggling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