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수행능력의 관계에서 학업에 대한 부모참여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한국아동패널 13차 자료 중 아동 학업스트레스(아동평정), 학업수행능력(소속 담임교사 평정), 학업에 대한 부모참여(보호자 평정)에 모두 응답한 자료가 있는 591사례를 분석하였다. 아동 성별, 어머니 학력, 아버지 학력, 어머니 취업여부, 가정 근로소득을 통제변인으로 하여 PROCESS Macro의 모형 4를 사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아동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수행능력의 관계에서 학교기반 부모참여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가정기반 부모참여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였다. 가정기반 부모참여의 수준이 평균, 하인 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가정기반 부모참여 수준이 상 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수행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에 대한 부모참여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를 조절하여 학업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모든 형태의 부모참여가 효과적이지는 않음을 보여준다. 또한 학업스트레스는 높지만 부모참여 수준이 낮은 아동들을 도울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in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6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Data from 591 cases, which responded to measures of child academic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parental involvement in academics, were analyzed from the 13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was employed to assess the moderating effect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based parental involvement in the link between child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home-based parental involve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average and low levels of home-based parental involvement, academic stress had a detrimental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The findings imply that parental involvement in academics can positively affect academic performance by moderating a child's academic stress. Nonetheless, it’s not all forms of parental involvement are equally effective. Moreover, the a necessity for alternative interventions to support children experiencing high academic stress with low levels of parental invol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