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에서 운영되는 대학생들의 교육봉사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봉사’의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정을 해석,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한 대학 내 교육봉사 동아리를 사례로 구성원들의 봉사경험을 참여관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봉사자들은 “빈곤계층 아동들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 교육봉사정책의 맥락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과 학습지도로 받아들였고, 이로인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과의 갈등 상황에서 역할 혼란을 경험하였다. 둘째, 지역아동센터에서 봉사자들은 “무기력한”아이들에게 대학진학의 목표를 심어주는 한편 그들의 힘겨운 삶에 대한 정서적 지지를 중심으로 대학생 교육봉사의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교육봉사가 보상교육 프로그램 위주의 처방책에 주력하는 교육봉사 정책으로 인해 봉사자와 센터 아동들을 소외시킬 뿐 아니라 대학생/“학습부진아”, 봉사자/“수혜자” 구분이 재생산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기존 연구의 빈 지점을 밝히고자 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특정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세계를 중심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갖는다. 이와 관련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ervic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operating in local children’s centers an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process by which university students construct the meaning of 'service'.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the activities of an educational service club at a university.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considered educational service as a meaningful activity in that they could help poor children and youth without financial compensation, and participated in educational service at local children's centers. However, due to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which are mainly based on the school curriculum, the conflict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hildren at the center gradually intensified. This study explores how everyday conflicts are manifested in local children's centers, what are the reasons or backgrounds that cause conflicts, and interprets, and discusses the changes in volunteers' role percep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service' in this process. Finally, I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cusing on policy issues related to child welfare and volunt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