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자기지향, 사회부과)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인정욕구의 영향이 유의한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42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학업지연행동은 증가하며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인정욕구가 매개역할을 하였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인정욕구가 매개역할을 하였다. 적응적인 측면으로 분류되었던 자기지향 완벽주의도 개인의 자기불일치와 인정욕구를 통해서 부적응적인 학업지연행동에 이르게 됨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대학생이 학업지연행동을 호소할 때 그들이 지각하는 자기불일치와 인정욕구의 수준을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조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시사점과 함께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the need for approv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self-oriented, socially prescribed)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Data from 424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onger th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endency, the higher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discrepancy and need for approv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self-discrepancy and the need for approv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which has been classified as an adaptive trait, leads to maladaptive academic procrastination through self-discrepancy and the need for approval.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helping college students with perfectionism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ir perceived levels of self-discrepancy and need for approval when they complai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re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