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치원 내에서 주변화된 방과후 교사가 인식하는 자신의 감정과 정체성, 그리고 구조 안에서 경험하는 지위 역할에 대한 사회화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4 명의 방과후 교사들이며, 2022년 4월부터 8월 사이에 총 6회의 심층면담에서 얻어진 내러티브가 가장중요한 연구자료이자 의미분석의 핵심이 되었다. 본고를 통해 드러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교사는 담임교사와 다르게 감정 없이는 자신의 행위를 설명할 수 없었으며, 주관적 감정을 통해 자신이처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볼 수 있었다. 둘째, 방과후 교사는 주변부에 속하는 것으로 자신의정체성을 위치화하며, 그에 따라 자신의 지위 역할을 규정하였다. 셋째, 교직수행에 있어서 자신의 역할은 주도성을 갖기보다는 주어진 상황을 감내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적극적 ‘행위자’보다는 행위자를 감내하는 ‘감수자’의 역할을 수용하며 사회화되었다. 본고를 통해 인간은 고유한 개별자인 동시에 서로에게 연결되는 존재임을 드러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층위의 지위와역할은 각기 개별성을 지닌 존재로의 존중과 주체성이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motions and identities perceived by marginalized after-school teachers in a kindergarten as well as the socialization of the status role they experienced within the structur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our after-school teachers working at a private kindergarten, and the narrative obtained from six in-depth interviews from April to August 2022 was the most important research data and the core of meaning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unlike regular homeroom teachers, after-school teachers could not explain their actions without emotions, and through subjective emotions, they could view their situation objectively and clearly. Second, they positioned their identity as belonging to the periphery and defined their status role accordingly. Third, in performing their teaching duties, they perceived their role as having to endure given situations rather than taking initiative. They were socialized to accept the role of “patiency” tolerating the agent rather than that of active “agency.” This study shows that humans are unique and mutually connected individuals and that the status and roles of people at various levels in the educational field need to be supported with respect and independence as beings with individ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