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 아동의 교육지원 정책에 대한 다문화 가정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한다. 방법 문헌 및 자료 분석을 통해 다문화 아동 교육지원 정책의 변화를 탐색하고,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의 면담을 통해 인식 및 요구를분석하였다. 면담은 다문화 가정 외국인 부(모) 5명을 대상으로 1:1로 각 학부모별 약 2∼3시간 전후로 2022년 10월∼12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결과 면담 대상 다문화 가정 외국인 부(모)는 의사소통 능력, 홍보 부족, 지원 형태 등의 문제로 다문화 가정 지원 정책을 잘 활용하지못하고 있었다. 다문화 가정에서 실감하는 가장 큰 아동 교육의 어려움은 국적 문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한국 생활 및 문화 적응의어려움 등이다. 마지막으로 꾸준한 학습 지원, 이용기관의 편이성 제고, 아동의 정서적 지원, 적극적인 정책 안내, 외국인 부(모) 지원등을 기존 정책 및 지원에 대한 개선점으로 꼽았다. 결론 우리나라의 다문화 지원 정책은 가정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다문화 가정아동의 실제적인 학교 적응을 위해서는 학업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정서, 사회성 등 정의적인 영역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과 지원이구체적으로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garding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Methods Changes in multicultural children's education support policies wer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perceptions and needs were analyzed through interviews with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sults Foreign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hardly receiving the benefit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due to problem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lack of publicity, and forms of support. The biggest difficulties in children's education experienced in multicultural families include nationality issues, Korean communication skills, and difficulties adapting to Korean life and culture. Lastly, consistent learning support, improved convenience for users, emotional support for children, active policy guidance, and support for foreign parents were cited as improvements to existing policies and support. Conclusions Korea multicultural support policy needs to explore various ways to provide practical help to families. In order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ctually adapt to school, specific policy attention and support is needed not only for academic aspects but also for affective areas such as emotions and social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