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 <배비장전>은 양반의 허위의식과 위선을 풍자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연구되었다. 물론 제주목사, 애랑, 방자 등이 배비장을 곤경에 빠뜨리는 장면에서는 풍자의 면모가 드러난다. 그러나 과연 이 작품이 양반에 대한 풍자를 궁극적 목적 혹은 주제로 삼았는가에 대해서는 재고의 여지가 필요하다. 풍자라는 것은 신분 차이나 빈부 격차 등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을 상정하기 때문에, 풍자 대상에게 변화를 요구하지 않으며 풍자 대상과의 관계 개선이 이루어지지도 않는다. 그런데 배비장전에서는 결말에 배비장이 제주 정의현감에 부임하고 제주 사람들과 이를 함께 기뻐하는 상황이 등장한다. 즉 이 작품은 양반을 풍자한다기보다, 서울 양반/남성의 행동과 태도에 대한 지적을 통해 그들의 변화를 유도하려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변화가 다름 아닌 제주의 낮은 신분의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배비장에게 계속해서 무례함을 지적하고 예의염치를 차릴 것을 촉구한다. 그들은 비록 권력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누구나 납득할 만한 이유를 들어 양반인 배비장을 지적하고 변화를 촉구한 것이다. 그들은 양반을 적대적 존재로 보지 않았다. 이는 낮은 신분의 사람들이 높은 신분의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스스로 터득한 소통과 연대의 한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 면에서 이 작품의 가치가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Until now, "Baebijangjeon" has been studied as a representative work satirizing the false consciousness and hypocrisy of the yangban. Of course, the scene where Jeju Governor, Ae-rang, and Bang-ja put Bae in trouble reveals the aspect of satire. However,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as to whether this work really made satire of the yangban the ultimate purpose or theme. Because satire assumes structural inequality in society, such as status differences and gap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t does not require change from the satirical object and does not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he satirical object. However, in Baebijangjeon,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Baebijang is appointed to Jeonguihyeongam in Jeju at the end and rejoices with Jeju people. In other words, rather than satirizing the yangban, this work aims to induce their change by pointing out the behaviors and attitudes of Seoul yangban/men.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se changes are made by none other than Jeju's low status people. They urge the captain to continue to point out disrespect and be polite. Although they do not have power, they pointed out Baebijang, a nobleman, and urged change for reasons that would be understandable to anyone. They did not see the aristocracy as hostile. I think this is a way of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that people of low status have learned themselves from their relationships with people of high status. In that respect, the value of this work should be re-exam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