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80년대 민주화운동 세력에게 5·18광주는 마치 맑스에게서 파리코뮌의 관계에 비유될 수 있었다. 파리코뮌을 보면서 맑스가 자신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과 혁명론을 정교화했다고 한다면, 1980년대 운동권들에게 5·18광주는 이론적·실천적 모티브 역할을 하였다. 우선 실천적 측면에서는 80년대 끊임없이 되뇌여졌던 ‘살아남은 자’의 부채였고, 그것이 실천의 동력이 되었다. 이론적 측면에서는 70년대 막연하게 언급되었던 ‘민중’의 모습을 5·18광주에서 발견하였고, ‘민중’에 의한 민주주의의 모습을 사상적으로 정교화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다양한 흐름의 변혁이론들이 구체화되었고, 조직화되었다. 이 글에서는 5·18광주를 계기로 발생한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단절의 내용과 효과를 분석하면서 그것이 한국의 민주주의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1980년대 끊임없이 5·18광주는 소환되었는데, 그것은 그 사건을 통해 주체로서 거듭나면서도 또한 이름 없이 사라져 간 무고한 ‘민중’의 존재 때문이었다. 1980년대는 그 ‘민중’을 이론·사상적으로 또한 실천적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글은 80년대가 상상한 ‘민중’의 모습, 즉 ‘민중’에 대한 ‘사회적 상상’을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그것은 ‘민중’이라는 개념과 호명을 통해 민중의 사회적 실존에 대해 어떻게 상상하였는가, 민중이라는 개념을 통해 사회적 타자들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어떻게 설정하고자 하였는가, 그리고 민중을 통해 어떤 유토피아를 상상하였는가 또한 그것을 위해 민중은 무엇을 요구받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민중’이라는 주체를 변혁이론들은 어떻게 이해하고자 했으며, 각각의 변혁이론들은 그러한 주체설정을 통해 어떠한 방식의 변혁을 추구하고자 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그리고 1980년대 민주화운동을 일단락짓는 사건이었던 1987년 민주화의 의미를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서 평가해보고자 한다.


In the context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Gwangju on May 18th can be likened to Marx’s relationship with Paris Commune. Just as Marx refined his proletarian dictatorship and revolutionary theories through the study of the Paris Commune, Gwangju in May 1980 played a theoretical and practical motivational role for the activist groups of the 1980s. Practically, it served as the constant reminder of the “survivor,” a debt that fueled their activism. The theoretical aspect involved discovering the vague concept of the “Minjung (people)” mentioned in the 1970s, witnessing its embodiment in Gwangju on May 18th, and seeking to intellectually refine the concept of democracy by the people. This led to the formulation and organization of various revolutionary theories.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ontent and effects of the rupture between the 1970s and 1980s triggered by the Gwangju Uprising and examine how it brought about changes in South Korea’s democracy. The constant summoning of Gwangju in the 1980s was both a reawakening as subjects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innocent “Minjung” who vanished without a name. The 1980s sought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Minjung” in theory, ideology, and practice. In this sense, the article attempts to reconstruct the “social imaginary” of the 1980s regarding the “Minjung” —how the concept was imagined in terms of the social existence of the people, how relationships with societal others were structured through the concept of the people, and what utopia was envisioned through the people. It seeks to answer questions about what demands the people made for this purpose. Additionally, the text explores how various transformation theories understood the subject of the “Minjung” and how each theory pursued transformation through it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Finally, it evaluates the significance of the 1987 democratization, which concluded the 1980s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events leading up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