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임진왜란기 관료로서 전란에 대응한 반곡 정경달의 󰡔반곡난중일기󰡕를 분석하여 이 글을 자기 치유 글쓰기로서 보았다. 특히 자기 치유를 위해 필요한 감정의 직면에서 부정적 감정뿐만 아니라 긍정적 감정 역시 아울러서 다루어야 자기 치유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전제 아래, 2장에서는 전란 과정에서 성과를 이룩함으로써 성취감이환기된 것을 보았다. 정경달은 선산부사로 재임하며 왜적을 효과적으로 방어한 일이나, 미리 비축해 둔 군량을 유사시에 제공한 일 등을 기록하며 기쁨과 성취감 등을 표출했다. 이어서 3장에서는 고통을 직면하는 지점을 분석하였는데, 가족의 이산으로 인한 슬픔과 염려, 왜적의 추격 시 겪은 불안함, 명나라 관료의 언행과 폐단으로 인한괴로움으로 나누어 살폈다. 자기 치유의 과정을 거쳐 마지막에 도달하는 단계로서 정경달은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자기 정체성을 정립하는데 이는 곧 애민정신과 충의식을 지닌 자연인으로 자리매김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Bangok Jeong Gyeong-dal's 󰡔Bangok WarDiary󰡕, which he wrote as a government official during the Japaneseinvasions of Korea and responded to the war, and viewed this writingas self-healing writing. In particular, under the premise that in orderto be effective in self-healing, not only negative emotions but alsopositive emotions must be dealt with when facing the emotionsnecessary for self-healing, we saw in Chapter 2 that a sense ofaccomplishment was evoked by achieving results during the war. Whileserving as Seonsanbusa, Jeong Gyeong-dal expressed his joy andsense of accomplishment by recording his effective defense againstJapanese enemies and the provision of military supplies he had storedup in advance in times of emergency. Next, in Chapter 3, the point offacing pain was analyzed, divided into sadness and anxiety due tofamily separation, anxiety experienced during the pursuit of Japaneseenemies, and suffering due to the words and actions of Ming Dynastyofficials and evil practices. As a final step through the process ofself-healing, Jeong Gyeong-dal confirmed his own existence andestablished his identity, which soon established him as a naturalperson with a spirit of love for his people and a sense of loya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