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배비장전>의 형성 및 텍스트 문제를 다루고 작품 속에 수용된 제주의 실상을 검토하여 그 의미를 밝힌 논의이다. 이를 위해 형식적 측면에서는 지금껏 소개된<배비장전>의 이본을 정리 후 비교하여 작품의 형성 과정을 추정하였으며, 내용적 측면에서는 제주 기생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생활상을 반영하는 몇 지점을 통해 제주의 실상을 드러낸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비장전>의 선본(先本)을 1916년 신구서림에서 출판된 󰡔신뎡수상(新訂繡像) 배비장전(裵裨將傳)󰡕으로 규정하였다. 둘째, <배비장전>은 이전부터 전해지던 판소리의 사설과 신작 구소설의 창작 방식이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며, 판소리의 사설에서 판소리계 고전소설로 이행하지 못한 채 곧바로 구활자본의 형태로 출간된 것으로보았다. 셋째, 애랑이라는 캐릭터를 통하여 제주의 기생을 부정적으로 서사화 한 동시에 제주의 지역적 특색과 맞물려 제주 기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견인하였고 이는 역사적 사실과도 무관하지 않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해녀의 이국적 이미지, 선박운용의 후대적 실상, 제주 지역 특산품 수탈의 편린과 같은 지점을 통해 문학의 현장에서 소외되었던 제주의 생활상을 핍진하게 드러내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배비장전>은 판소리계 고전소설로의 이행 과정 없이 사설에서 구활자본으로 출간된작품으로써, 형식적 측면으로는 전해지던 판소리 사설에 신작 구소설 형식을 더하였고 내용적 측면으로는 제주의 실상을 서사화함으로써 창작된 작품으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and discuss the reality of Jeju depicted in the story. To address thestory from its formation, various versions of Baebijangjeon wereanalyzed in comparison to estimate how the story had been created,and in terms of content, it was investigated how the reality of Jejuwas reflected onto the study by investigating a few points showingthe negative image and lifestyle of Jeju. From this approach, thefollowings were revealed: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versionof Baebijangjeon is 󰡔Sindyeongsusang(新訂繡像) Baebijangjeon(裵裨將傳)󰡕published by Singuseorim in 1916. Second, Baebijangjeon was formulatedby integrating the editorial of Pansori with a new story creationapproach, used for a new traditional novel. It would be reasonable toassume that it was published as an old printed novel without transitionfrom the editorial of Pansori to a Pansori-style traditional novel. Third, a character ‘Aerang’ was used to negatively narrate a gisaengof Jeju along with local characteristics of Jeju and in turn, it led toa negative perception of gisaengs of Jeju and it was found to berelevant with historical fact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story, the life of Jeju, which was somewhat neglected in literature of Korea,was described in detail, such as the exotic images of female divers, thereality of ship operation, and the exploitation of local specialties of Jeju.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consider Baebijangjeon as awork published as an old printed novel without transition from theeditorial Pansori to a classic Pansori novel: In respect of its formation,it was formulated by integrating the editorial of Pansori onto a newstory creation approach, used for a traditional novel, and in terms ofcontent, it could be defined as a work depicting and describing thereality of Je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