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80년대 부산지역의 기업 사보는 ‘도시 부산’의 대중지성을 형성하는 문화적 유통회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지역 사보를 문화적 텍스트로 다루고자 하는 시각과 방법이 마련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1980년대부산지역 기업들이 기획, 제작, 발간해 왔던 ‘사보(社報)’의 존재 양상을 실증하고, ㈜미화당의 사보 󰡔미화당󰡕을 분석함으로써 지역 산업 저널리즘의 실체와 문화적 함의를고찰하였다. 부산지역 사보 발간 현황과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부산지역의 사보는 1968년 10월 ㈜부산은행의 󰡔부은뉴우스󰡕가 발행된 이래 40여종에 이르게 된다. 둘째, 1980년대 부산지역 사보는 정부의 정기간행물 통제로 인해위축되어 있던 지역의 출판과 잡지문화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는 계기로 인식되었다. 셋째, 1980년대 부산지역 사보의 전문화와 고급화 요구에 입각하여 ‘부산사보편집자회’가 출범하게 되었으며, 이는 지역 산업 저널리즘의 창안과 혁신에 크게 기여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사보 󰡔미화당󰡕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사보 󰡔미화당󰡕은대내적 측면에서는 임직원 간의 소통과 교류를 강화함으로써 안정적인 기업문화를 가꾸는 데 기여했으며, 대외적 측면에서는 부산지역 산업 현장을 이해하고 기업과 시민이 교통할 수 있는 문화적 장을 만들었다. 둘째, 󰡔미화당󰡕은 부산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던 문화예술인들의 작품 발표 공간이자, 부산지역 시민들이 사보라는 새로운 읽을거리를 통해 대중지성을 정초하는 매개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1980s, industrial publications in the Busan area was a culturalvenue that formed the popular intelligence of Busan. However, untilnow, such a perspective and method has not been established. Basedon this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is paper demonstrated theexistence of industrial publications that were planned, produced, andpublished by companies in the Busan area in the 1980s. And byanalyzing the newsletter of ‘Mihwadang Co., Ltd.’, 󰡔Mihwadang󰡕, thereality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local industrial journalism wereexamined. The public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publications in Busan a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1980s, there were about 40 types of industrial publications in theBusan area since Busan Bank Co., Ltd.’s industrial publications waspublished in October 1968. Second, in the 1980s, it created an opportunityto breathe a new wind into the publishing and magazine culture of theregion, which had been shrinking due to the government’s control ofperiodicals. Third, in the 1980s, the ‘Busan Industrial Publications Editors’Association’ was launched based on the demand for specialization andadvancement of local industrial publications.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and innovation of local industrial journalism. Theresults of analyzing the specific contents focusing on 󰡔Mihwadang󰡕 areas follows. First, on the internal side, 󰡔Mihwadang󰡕 contributed tocultivating a stable corporate culture by strengthening communicationand exchange between executives and employees, and on the externalside, it created a cultural venue where companies and citizens cancommunicate by understanding the industrial field in the Busan area. Second, it can be seen that 󰡔Mihwadang󰡕 was a space for culturalartists based in Busan to present their works, and it also served as anopportunity for Busan citizens to cultivate popular intelligence throughnew reading material called Industrial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