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제주방언 용언 어간과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부사형어미 ‘-아/어X’의 교체양상을 검토하여 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 것이다. 즉, 현재 제주방언에서부사형어미 ‘-아/어X’ 교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기술하고, 이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제주방언의 단음절 어간과, 다음절 어간이면서 개음절인 경우 부사형어미 ‘-앙/엉’의 교체는 모음조화 현상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양성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는 모음들은 ‘-아X’를 취하고, 음성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는 모음들은 부사형어미 ‘-어X’를취한다는 일종의 공식이 적용되는 것이다. 다만 ‘ㅂ’으로 끝나는 단음절 어간 중 음성모음임에도 ‘-아X’를 취하는 예외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단음절이면서 개음절 어간의 어간말 음절 모음이 ‘ㅜ’인 경우에는 부사형어미 ‘-엉’이 결합하나 다음절이면서 개음절 어간의 어간말 음절 모음이 ‘ㅜ’인 경우에는 부사형어미 ‘-앙’을 취하고 있다는 점과, 그 가운데 일부 어간이 이전 시기의 활용형을그대로 유지하여 부사형어미 ‘-앙’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을 이 방언의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이 글에서는 ‘-어X’형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자리에 ‘–아X’형이 나타나는 것을‘공시적 언어 체계 속에 남아 있는 이전 시기 언어의 흔적’으로 보았다. 즉, 이전 시기의 언어 요소가 변화를 겪지 않은 예외임을 말하는 것이다. 어간의 재구조화 등이 나타나더라도 이전 시기의 활용형들이 화석화되어 나타나는데, 이것은 결국 어떠한 음운 변화가 적용될 때는 기저형에서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활용형 각각에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폐음절 어간의 부사형어미 ‘-아/어X’ 교체 또한 어간말 음절 모음의 음운론적 성격과 관련되는바 특히 모음조화의 모음 부류를 변화시키는 모음변화가 관계하더라도 ‘-앙/엉’의 교체는 이전 버릇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이는 음운체계가 변화해도모음조화와 관련된 ‘-앙/엉’ 교체는 여전히 일부 과거의 질서에 묶여 있음을 보여주는것이라고 설명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attern of replacement of the adverbialending ‘-아/어X’ that appears in combination with the predicate stemin the Jeju dialect and attempts to interpret it. In addition, the purposewas to describe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how the replacement ofthe adverbial ending ‘-아/어X’ occurs in the current Jeju dialect. In the case of monosyllabic stems and polysyllabic stems in the Jejudialect, as well as stem-final vowels that are open syllables, thereplacement of the adverbial ending ‘-아/어X’ seems to maintain thephenomenon of vowel harmony. In other words, a kind of formula isapplied in which vowels that can be classified as positive vowels take‘-아X’, and vowels that can be classified as negative vowels take theadverbial ending ‘-어X’.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some exceptionsalso exist. If it is monosyllabic and the stem-final syllable vowel of theopen-syllable stem is ‘ㅜ’, the adverbial ending ‘-엉’ is combined;however, when it is polysyllabic and the vowel of the stem-finalsyllable of the open-syllable stem is ‘ㅜ’, the characteristic of thisdialect is that it takes the adverbial ending ‘-앙’. In this article, the appearance of type ‘-아’ in the place where type‘-어’ is expected to appear was seen as ‘a trace of language from aprevious period remaining in the synchronic language system.’ In other words, this is an exception in which language elements from theprevious period did not undergo change. It was judged that theseirregularities appear because conjugations were fossilized in the previousperiod and were not in harmony with the synchronic phonologicaldescription system. Meanwhile, the replacement of the adverbial ending ‘-아/어’ in theclosed syllable stem of the Jeju dialect is related to the phonologicalnature of the final syllable vowel of the stem and in particular, evenif a vowel change that changes the vowel class of vowel harmony isinvolved, the replacement of ‘-앙/엉’ is also considered to maintain theprevious habit.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even if the phonologicalsystem changes, the ‘-앙/엉’ replacement related to vowel harmony isstill tied to some of the past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