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Sequential presentations, such as job interviews, personnel decision-making, proposal selections, and competitions in fields like music, art, and sports, often introduce biases into performance evaluations. Among these biases is the serial position effect, characterized by two primary components: the primacy effect, which involves better recall of initial events, and the recency effect, which pertains to the enhanced recall of the most recent occurrences. Consequently, competitors of equal talent may receive unfair evaluations based solely on their position in the lineup. Using a substantial dataset (n = 1462) from performance assessments in the reality singing competition ‘Masked Singer,’ this study presents a persistent case of recency bias over an extended period. The odds significantly favor the second performer, with nearly three times higher winning chances than the first performer. This study also aims to address the long-standing inquiry into the comparative abilities of experts versus the general public in assessing the quality of cultural events. The findings unveil that both the Expert panel and the public (Audience) panel exhibit the recency effect. However, the Expert panel displays a lower sensitivity to the order effect, as the second performer’s winning ratio consistently remains lower compared to that under the Audience panel. The mean vote margin, representing the difference in votes earned by competitors, reveals intriguing insights. A significantly larger mean vote margin occurs when the second performer wins, suggesting a potential positional advantage or premium. Furthermore, regardless of the order of appearance, the mean vote margin is larger under the Expert panel than under the Audience panel. This suggests that the Expert panel tends to make more decisive decisions, possibly indicating greater confidence in their evaluations.


의사결정과정의 공정성은 윤리적 측면은 물론 조직 또는 사회 구성원의 신뢰 구축, 갈등 예방, 평등과화합 측면에서도 대단히 중요하다. 하지만 공정성을 구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힘들다. 공정성 저해요인 중의 하나가 인간의 편견인데, 순서위치효과(serial position effect)도 이 중의 하나이다. 여기에는두 가지 뚜렷한 효과가 있는데, 초기 정보나 사건을 더 잘 기억하는 초두효과(primacy effect)와, 가장최근 것을 더 잘 기억하는 경향인 최신효과(recency effect)가 그것이다. 이런 효과들은 채용면접이나인사 관련 의사결정, 성과평가, 소비자 구매행동 등은 물론 음악, 가요경연이나 스포츠 경기 등 다양한분야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가요경연 리얼리티 쇼인 복면가왕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한다. 복면가왕의 홈페이지에는 “인기라는 계급장을 떼고 진정한 노래 실력으로만 최고의 가수”를 뽑겠다는 공정의지가 천명되어 있다. 이는 출연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정교한 가면과 의상, 음성변조 등으로 뒷받침 되었는데, 인기, 경력, 성별, 연령 등실력 외적 요인의 개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그 어느 경연보다 공정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는 복면가왕의 경연 결과를 분석하여 최신효과의 존재를 확인한다. 또한 전문가(expert) 평가와 일반인(public) 평가를 비교하고, 전문가의 평가가 일반인들 보다 더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경쟁의본질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는지, 투표성향은 일반인들과 어떻게 다른지와 같은 오래된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출연순서가 분명한 2, 3라운드에서는 후순위 출연자의 승률은 74.68%로 선순위 출연자의거의 3배에 가까웠다. 전문가의 평가 역시 일반인들과 다름없이 최신효과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나, 일반인들 보다는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연순서 외에 성별, 연령, 및 상호작용효과는 승패에 영향을 주지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투표행태(voting behavior)는 흥미로운 차이를 보였다. 두 판정단 모두후순위 출연자가 승리할 때의 승패간의 표 차이가 선순위 출연자가 승리할 때보다 컸는데, 이는 최신효과로인한 후순위의 프리미엄의 차이로 보아야 할 것이다. 특기할 것은 출연순서에 상관없이 전문가 판정단의승패간의 표차이가 일반인 평가의 그것보다 컸는데, 이는 전문가 판정단의 평가에는 일종의 자신감, 자기확신이 반영되었다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