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용노동부는 2022년 11월 중대재해감축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사망 · 사고 만인율을 OECD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하여 위험성평가를 사고예방과 재발방지의 핵심수단으로 개편하는 한편 위험성평가의 문제점으로 어렵고 힘들다는 이유로 제대로 실시하지도 않고 근로자의 참여도 낮은 상황을 문제점으로 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한 위험성평가의 실효성이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본 연구를 통해서 위험성평가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위험성평가의 실효성과 안전행동의 관계와 위험요인인지의 매개효과를 구명하고자 서울, 경기지역의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25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프로그램인 JAMOVI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사용하여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위험성평가 실효성은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β=0.135, p=0.01), 위험성평가의 실효성과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인지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69, 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위험성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근로자에게 위험성평가 교육과 외부 안전전문가 또는 안전전문기관의 컨설팅을 통한 방법이 필요하겠다.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November 2022, announced a major accident reduction roadmap, aiming to reduce the fatality and injury rate to the level of OECD advanced countries by revamping risk assessments as a key tool for accident prevention and recurrence prevention. They cited the difficulty and lack of proper implementation of risk assessments, as well as low worker participation, as major issu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influences workers' safety behavior, and contribute to the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The study surveyed 250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in Seoul, Gyeonggi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and safety behavior,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risk facto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JAMOVI,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safety behavior (β=0.135, p=0.01), and perceived risk factors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and safety behavior (β=0.269, p<.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requires providing workers with education on risk assessments and utilizing consulting services from external safety experts or safety organiz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