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민’은 근대 한국 역사의 진행 과정에서 다면적·다층적 의미를 지녔다. 이에 유의하여 본 논문은 ‘인민’의 역사화라는 관점에서 ‘인민의 시대’였던 해방/종전 직후 남조선에서 나타났던 좌익의 ‘인민’을 검토한다. 민주주의가 절대화된 당대 남조선에서 반파쇼 투쟁이 당대 좌익의 ‘정치 노선’이 되면서, 1930년대 중반 이래의 반파쇼 인민전선에의 관심 고조와 그것의 인적 주체인 인민의 남조선 소환이 좌익 엘리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당시 소환된 인민은 정치적 영역만이 아니라 제반 삶의 영역에서까지 ‘자주적·주체적·주권적(sovereign) 주체’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인민은 타자와의 관계 위에서 존재하는, 따라서 자신의 존재를 타자에 의존하는 관계적인, 비(非)자주적·독립적 실체였다. 나아가 인민은 대(對)타자 관계성의 자각 여부에 의존하는 의식적·관념적 존재이자 그러한 자각의 파생적 존재이기도 했다. 이러한 인민상(相·像)은 반파쇼 민주주의가 의제화된 남조선의 종전/해방 직후 역사를 보여주는 것이다.


‘Inmin’(인민, 人民, people) has carried its multi-facial and –layered implication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This leads this essay to historically examine the inmin in the immediate post-War/-colonial South Korea which, recalled by the contemporary Korean lefts, built ‘the age of inmin’. Inmin was constructed as sovereign subject not only in the politics but also in all areas of life. Yet, the inmin was a relational and non-sovereign, dependent entity which existed in its relation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the inmin was an ideational entity which existed based upon its consciousness of ‘self vs Other’, and, in that sense, an entity derivative from such consciousness. The inmin reconstructed here, de-constructing inmin’s established sovereign subjectivity, historicizes the inmin which immediate post-War/–colonial South Korea constr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