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오리 생산국이며, 오리고기는 한국인이 네 번째로 많이 소비하는 육류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에서 오리고기를 인식하고 소비되는 방식은 1980년대 중반에 그 틀이 잡혔을 만큼, 오리고기는 비교적 새로운 식재료이기도 하다. 오늘날 한국의 오리고기는 품종, 사육, 유통, 요리 등 모든 면에서 산업화 이전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만, 오리고기 생산자와 유통업자들은 오리고기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이러한 차이를 무시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과정을 분석한 비판적 역사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주목하여, 이 글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되짚어보기 위해 우선 산업화 이전의 오리 사육과 소비를 간략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산업화 시기에 정부가 오리 사육을 장려한 이유와 방법,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리 생산과 소비가 크게 증가하지 않은 이유를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1980년대에 오리고기 공급이 어떻게 극적으로 변화했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행착오와 우연한 계기들을 통해, 어떻게 “훈제 오리고기 슬라이스”가 오리고기의 지배적인 소비 형태로 자리잡았는지 추적할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 한국의 농업 경제와 사회 변화의 단면을 살펴보고, 동아시아의 사회적, 생태적 물질 대사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South Korea is unexpectedly a large producer and consumer of duck. South Korea is the fifth largest duck producer in the world, and duck is the fourth most popular meat consumed by South Koreans. However, the way duck meat is perceived and consumed in South Korea is quite a new invention, which could be traced back to the mid-1980s. Duck in South Korea today is a different sociocultural construction from its predecessor, in terms of breed, breeding, distribution, and cooking. The producers and distributors of duck hav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gnored this difference to expand the market for duck meat. To retrace this historical process, this article briefly reviews pre-industrial duck raising and consumption. It will then examine why and how governments encouraged duck breeding during the early industrialization period, and why this did not result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duck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is then followed by an illustration of how the supply of duck meat changed dramatically in the 1980s, and finally of how, through trial and error and serendipitous developments, the cooking and consumption of duck meat resulted in the dominance of “smoked duck meat slices”. In doing so, this article will provide a snapshot of the agrarian economy and social change in modern South Korea, and present it as a clue to understanding social and ecological material metabolism in 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