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통합과학교육론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 29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통합과학교육론 수업을 실시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모둠별 논의를 거쳐 과학교육론과 관련된 토의 주제를 설정하였다. 또한 ChatGPT 활용, 카드게임, 카드뉴스 제작 등 다양한 전략들을 직접 활용하여 토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간 t-test 결과 일반 교수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 교수 효능감은 사후 검사 결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교수 효능감 중 개인 교수 효능감은 사후 검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교수 결과 기대감은 사후 검사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과학 교수 효능감은 과학 교수 개인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 모두 사후 검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다만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은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직접 다양한 교수 전략을 활용하는 활동이 교수 효능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교수 결과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이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수 결과 기대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과학교육론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class with enhanced learner participation affe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o this end, 29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were given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heory class that strengthened learner participati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t discussion topic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theory through group discussions. Also, a variety of strategies were directly applied to create discussion activities, including the usage of ChatGPT, card games, and the creation of card news. As a result of the t-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for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teaching efficacy. However,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post-test results. Among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the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but the expectation of teaching results was lower in the post-test. On the other hand, science professor efficacy was higher in the post-test for both science professor personal efficacy and science professor result expectancy. Science professors, however,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ities in whic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rectly utilize various teaching strategie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teaching efficacy. However, because the process of confirming teaching results was not implemented,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ctations of teaching result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science education theory class that strengthened learner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icacy of science teach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