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전쟁 이후 서울은 도시계획을 통해 다양한 공간들을 만들며 ‘대변화’를 이 루었다. 1960년대 서울시 도시계획을 통해서 만들어진 대표적인 공간인 세운상 가는 지난 60여 년 동안 도시계획을 통해 개발과 보존 사이에서 존치와 철거를 넘나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계획 과정에서 세운상가에 다층적인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의회 회의록 및 시 공무원의 구술자료를 통해 도시계획에 따른 세운상가의 장소성 변화를 고찰 하고 함의를 발견하고자 했다. 사람 중심의 미래도시로 조성된 세운상가는 시간이 흐르면서 낡은 곳, 도시문 제의 주범, 회복해야 할 거리와 녹지축, 기술 및 창업 공간 등 다양한 의미를 넘 나들었다. 이 의미들은 역사, 환경, 재생 등 다양한 프레임으로 포장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세운상가는 여전히 ‘미사일과 로봇도 만들 수 있는’ 곳이지만 세운상가 의 장소성은 세운상가 이용자들의 일상적 맥락이 아닌 도시계획의 실천 맥락에 서 생성, 변경, 편집되었다. 즉, 세운상가의 ‘처리방식’은 세운상가의 구성 존재들 이 아닌, 도시계획을 결정하고 시행하는 주체들을 통해 결정되었다.


Since the Korean Wa r , Seoul has been transformed by creating various urban spaces through urban planning. Sewoon Shopping Street, a representative space created through urban planning in Seoul in the 1960s, has been oscillating between demoli- tion and preservation through urban plann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multilayered meanings attached to Sewoon Shopping Street in the urban planning proces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changes in Sewoon Shopping Street’s placeness as a result of urban planning through the minutes of the Seoul Metropolitan Assembly and oral his- tory resources of public officials. Created as a people-centered futuristic city, Sewoon Shopping Street has crossed various meanings over time, such as an old place, the main culprit of urban problems, a street and green axis to be restored, and a technology and entrepreneurship space. Meanings were wrapped in various frames such as history and environment. In Ko- rean society, Sewoon Shopping Street is still a place where “missiles and robots can be built,” but its placeness was created, altered, and edited in the context of urban planning, not in the everyday of Sewoon Shopping Center users. In other words, the “way” Sewoon Shopping Street is treated is determined by the agents who decide and implement urban planning, not by the constituent beings of Sewoon Shopping Str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