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기술의 세기’로 정의되는 21세기가 고도화된 과학기술에 의해 견인될 것이라는 시대적 평가와미래지향적인 예측을 인문학적인 시각에서 통찰한 연구이다. 특히, 21세기의 시작과 함께 강조된 디지털기술의 표상으로 일컬어지는 ‘Metaverse’ 개념의 문화적인 수용 양상을 인문학적 또한 교양교육학적측면에서 검토한 연구이다. 현재로선 명확한 정의로 수립되지 못한 메타버스가 통상 3D 디지털 기술로이해되는가 하면 ‘가상세계’로 표상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인문학적 사유의 개입이 필요함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현재 인터넷 이용자들이 메타버스를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와 같은 캐릭터창조게임이나 롤플레잉게임의 가상세계로 인식하는 가운데, 메타버스에 투영되는 유희적 상상의 원천에 대한물음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들이 메타버스, 가상세계를 접속하여 그곳에서 자신을대체할 ‘avatar’ 혹은 ‘영웅’ 창조를 추구하는 현상에서, 태곳적 신화세계에서 발현된 상상, 즉 ‘인간창조욕망’이 내재하고 있음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메타버스의 시대 가상세계와 접속하면서 아바타를 창조하려는 인류의 욕망은 일찍이 신화세계에 표현된 인간창조 욕망과 유사하며, 또한 이를 답습한 지난세기들의 문학적이고 예술적인 시도들과 교차하고 있음을 해설하였다. 이 비교를 통해, ‘Metaverse 가상세계’ 구현에서 ‘Mythoverse 신화세계적’ 상상이 작용함을 인지할 수 있었다. 즉, 인류의 삶이가상세계와 접속할 때, 인문학적 지식의 원천인 ‘신화’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신화에서 역사로, 실제에서 꿈으로, 현실세계에서 가상세계로, 뮈토버스에서 메타버스로의 전환과 이행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실행되는 것임을 밝힘으로써, 인류 문화자산으로서의 신화가 갖는 가치를 강조하고자 하였고, 인문교양교육에서 ‘신화’란 재료가 필수적임을 숙고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valuative and future-oriented predictions of the 21st century, defined as the ‘Century of Technology’,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foreseeing its advancement propelled by sophisticated science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acceptance patterns regarding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representation of digital technology emphasized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from both humanistic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Given the current lack of a clear definition,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the intervention of humanistic reasoning, as the metaverse is generally understood either as 3D digital technology or represented as a ‘virtual world’. At the current juncture,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virtual world in the metaverse is perceived through character creation games or role-playing games such as ‘Second Life’, this study seeks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playful imagination that is projected onto the metaverse. Examining the phenomenon where internet users connect to the virtual world of the metaverse, placing a central focus on creating an ‘avatar’ or hero representation,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inherent presence of imaginative desires, specifically the ‘human creative desire’, manifested in mythical worlds. With the advent of the metaverse era and the connection to virtual worlds, the human desire to create avatars reflects similarities to the ancient expression of the human creative desire in mythical worlds. The study also interprets how literary and artistic attempts of past centuries have echoed and intersected with this desire. Through this comparison,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mythoverse’, or mythological imagination, in implementing the virtual world of the metaverse. Additionally, the study considered that if human life transitions to virtual worlds in the near future, the wellspring of humanistic knowledge, namely ‘myth’, could have a meaningful impact. Despite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s of the 21st century, the transition and realization from mythology to history, reality to dreams, the real world to virtual worlds, and the mythoverse to the metaverse transcend space and time. By emphasizing the value of mythology as a cultural heritage for humanity and highlighting the need for applying mythology in humanities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myth in the cultural assets of huma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