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5차년도와 8~9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고교유형별 입학생의 특징과 고교 재학 중 대학 진학활동, 그리고 대학진학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교유형별 가정환경배경 및 학업지원, 고교 진학준비활동에 차이가 있었으며, 고교 재학 중 대학 준비활동 역시 특목자사고와 일반고, 특성화고 순으로 긍정적인 점수를 보였다. 대학진학 성과를 수능등급과 (전문대 대비) 일반대 진학 확률, (비수도권 일반대 대비) 수도권 일반대 진학 확률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대체로 특목자사고의 대학진학성과가 가장 높고, 특성화고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각 분석에 수능등급을 고려하였을 때, 일반고에 비하여 특성화고 졸업생의 일반대 입학확률에 차이가 없었고 수도권 일반대 진학확률은 오히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진학 전부터 시작되는 교육의 계층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한 고교진학 지도가 필요하며 고등학교 단계에서 설립취지에 맞는 충실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대학 진학과정에서 발생하는 고교유형별 차이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노력이 입시과정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대학입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노력이 인정되는 공정한 입시가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d college entrance activities and college entrance outcomes by high school type based on data from the 5th, 8th, and 9th year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There were differences in family background, academic support from home, and high school preparation activities by high school type. Also, college preparation activities were highest among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SAH) and lowest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s (SH). Finally, in general, SAH had the highest college entrance outcomes while SH had the lowest, based on SAT scores, the probability of entering a university (PrbUni), and that of entering a metropolitan university (PrbMet). When SAT scores were analyze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H and GH regarding PrbUni; however, PrbMet was higher among SH. To alleviate the phenomenon of stratification of education that occurs even before entering high school, high school transition guidance that takes into account students' aptitudes and career paths is necessary, and it is imperative to ensure that students receive an education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t the high school stag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y high school type that arise during the college entrance process and improve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o that students' efforts are well reflected in the entrance examination process. Through this, a fairer entrance examination that acknowledges individual efforts can be adminis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