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면담을 통해 저경력 교사들의 학생 문제행동 훈육 경험을 분석하여 그들이 훈육을 경험하면서 어떠한 사고를 하고, 사고를 통해 훈육 방침에 어떤 변화가, 왜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내러티브 탐구이다. 신도시의 한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저경력 교사 6명의 훈육 경험을 분석한 결과, 저경력 초등교사의 훈육 경험은 ‘초기의 훈육: 잡아주기’, ‘훈육 방침의 수정: 만병통치약, 상담’에, 비유되는 내러티브로 재구성되었으며, 훈육 경험이 갖는 의미는 ‘조율,’ ‘칠전팔기’였다. 즉, 이들의 훈육은 통제하기가 목적인 훈육에서 점차 영향주기가 목적인 훈육으로 변화하는 양상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저경력 교사들은 다양한 맥락에 맞춰 조율하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더 나은 훈육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이상의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교사들이 훈육을 하는 이유뿐만 아니라 문제행동이 반복되는 근본적인 이유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점, 상담, 규칙, 잡아준다 등 본래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는 용어들에 관한 구분 및 적절한 용어 사용이 제고될 필요가 있다는 점, 저경력 교사 개인의 역량 및 태도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훈육에 있어서 지원이 요구된다는 점 등을 논의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to analyze the disciplinary experiences of novice teachers through interview to find out what kind of thinking they think as they experience discipline, what changes in discipline policy and why these happen. As a result of the study of six novice teachers working at an elementary school, the disciplinary experience was found to be "initial discipline: correcting," "modification of discipline policy: panacea, counseling," and the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are "tuning" and "doggedness." In other words, their discipline gradually changed from discipline aimed at controlling to discipline aimed at influencing, and in the process, they suffered numerous trials and errors but tried to do their bes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discussion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the reasons for discipline, but also the fundamental reasons for students' repeating problem behavior, the distinction and use of appropriate term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eaning, such as counseling, rules, and correcting, and support to help novice teachers discipline which depends on their competence and attitude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