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제7~제8회 시・도의회의원(광역의원) 선거의 선거구획정 공정성을 각종 지수를 활용하여 측정한다. 이를 통해 선거구간 인구편차 기준을 4:1에서 3:1로 변경한 제8회 선거에서 선거구획정의 공정성 강화라는 제도적 효과가 나타났는지를 확인해 본다. 분석 결과, 첫째, 선거구획정의 공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코사인제곱지수, 루즈모어-한비(L-H) 지수 모두에서 제8회 광역의원 선거는 제7회 선거와 비교하여 공정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도농 선거구 간의 과소・과다대표의 문제는 제7회와 제8회 선거 모두에서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셋째, 제8회 광역의원 선거의 인구편차 허용 기준 강화는 군(郡) 지역을 중심으로 한 농어촌 선거구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고, 향후 이러한 문제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농어촌 지역의 선거구 감소 문제와 경기도와 같이 인구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역의 과소대표의 문제를 동시에 해소하는 방안으로 공직선거법 제22조의 ‘조정범위’ 규정을 활용할 것을 시론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This article measures the fairness of the electoral systemin the 7th to the 8th metropolitan council elections using various indices. Through these measurements,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institutional effect of the fairness of redistricting system appeared in the 8th election. Subsequently, policy discussions will be held on various issues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redistricting system. The results of the fairness of the 7th to the 8th metropolitan council elections calculated by the cosine square index and Loosemore- Hanby index are as follow: Fist, Compared to the 7th election, the fairness of redistricting system was improved in the 8th regional council election. Second, In the 8th regional council election, as in the previous elec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roblem of under-representation and over-represent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constituencies still persists. Third, Considering the current trend of population decline, it is pointed out that a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not only county areas but also city areas is progressing rapidly, and constituency reduction at the provincial level is inevitable. Lastly, this study propose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reducing electoral districts in rural areas by using 'adjustment range', and to solve the problem of underrepresentation in areas where the popul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such as Gyeonggi-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