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국기강하식을 둘러싼 지배, 훈육, 실천, 저항 등 여러 세력간의 교섭과 갈등에 대해 검토한다 먼저 독재정권이 법령 제정과, 미디어 장악, 국가기관을 통한 훈육 등을 통해 국기강하식을 시행하고 확산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한 국기강하식 시행의 목적을 정권에 대한 충성강요, 권력의 과시, 봉기하는 대중에서 질서 정연한 대중으로의 개조, 국민의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파악할 것이다. 마지막에는 국가의 국기강하식 시행목적과는 달리 학생운동세력, 민주화운동세력, 대중이 국기강하식을 전유해 국가에 대한 분노 표현, 저항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이 글은 그간 연구되지 않았던 국기강하식에 주목했을 뿐아니라 독재정권시기 대중의 전유를 통한 저항의 사례를 검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negotiations and conflicts among various forces surrounding the flag-lowering ceremony, including domination, discipline, action, and resistance. To begin with,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dictatorial regime at the time implemented and disseminated the flag-lowering ceremony via the enactment of laws, control of the media, and disciplinary measures through state institutions. Sub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urpose behind the state’s execution of the flag-lowering ceremony through these processes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the coercion of loyalty to the regime, demonstration of authority, the transformation of the rebellious public into an orderly one, and the shaping of the nation. In contrast to the purpose of the flag-lowering ceremony conducted by the state, the concluding section elucidates how student activist groups, democratization forces, and the general populace utilize the flag-lowering ceremony as a means of resistance against the stat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not only sheds light on the flag-lowering ceremony, hitherto unexplored in research but also examines instances during the dictatorial regime when the public utilized this ceremony as a means of resisting the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