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민주시민교육 조례에 명시된 내용에 대해 지방정부(의회)와 수요자인 시민사회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근원적 차이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구체적 연구를 위하여 주요 행위자를 지방정부‧지방의회‧시민사회로 구분하고, Westheimer& Kahne(2004)의 3가지 시민성 유형으로 민주시민교육 조례와 주요 행위자들의 인식에 대한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민주시민교육 조례와 지방정부는 개인적 시민성을 강조하고, 지방의회는참여적 시민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민사회는 정의지향적 시민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민주시민교육이 지니고 있는 포괄적인 개념의 특성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개인의 경험과 인식에 따라 추구하는 교육목표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민주시민교육이 이론과 현실의 격차를 줄이고 사회적 합의를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itiates from an awareness of the fundamental differences in how local governments (councils) and civil society, consumers, perceive the contents specified in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ordinance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For specific research, the main actors were categorized into local government, local council, and civil societ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ordinance and the perceptions of the main actors were analyzed utilizing three types of citizenship of Westheimer & Kahne (2004).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ordinance and local governments emphasize personally responsible citizenship, and the local council emphasizes participatory citizenship. Conversely, civil society places emphasis on justice-oriented citizenship. This phenomenon was analyzed to have occurred due to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urthermore, it was found to result from differences in educational goals pursued depending on individual experience and perception. The implications were drawn that future democratic civic education needs specific strategie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ory and reality and achieve social consen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