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진로·학업 설계 지도 현황 및 인식을 분석하고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위해 보완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위해 교사와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교 구성원의 설문 조사를 하였고, 결과 분석을 통해서 진로·학업 설계 지도에 대한 학교 현장의 운영 현황과 변화 양상 및 진로·학업 설계 지도 관련 경험 및 요구를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진로와 직업> 과목은 1학년에 편성되어 있는 학교가 50% 이상이었고,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진로 활동은 평균적으로 1학년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진로·학업 설계 프로그램 중 선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과목 설명회’와 ‘진로·학업 설계 상담’이다. 이는 학생들의진로·학업 설계가 교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고등학교 1학년 1학기의 진로 집중 학기제 및 1학년의 진로 집중 학년제를 내실 있게 운영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진로·학업 설계 지도 변화 양상에서 파악된 것은, 진로·학업 설계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활성화, 창의적 체험 활동을 통한 진로 연계 및 탐색 활동의 강화, 진로·학업 설계 지도에 대한 담임교사의 역할 확대 및 교원 전문성 강화, 학생의 인식 변화 등이 결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진로·학업 설계 지도의 협업 인식 제고방안과 축적된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의 체계화 및 온라인 체제에서 학생 학업 설계 기록의 학년 연계 누적 기능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following the phased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explore specific support plans for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a survey of school members was conducted o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in the school field for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and the experience and demand related to career and academicn guid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re than 50% of the schools organized in the first year of <Career and Vocation> were organized in the first year, and career activities were the longest in the first year on average. Among the career and academic programs, the highest rate of choice was ‘subject briefing session’ and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This suggests that students’ career and academic should be centered on the subject, and that the career-intensive semester system for the first semester of high school and the career-intensive grade system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should be properly operated. Diversification and activation of career and academic programs, reinforcement of career linkage and exploration activities through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expansion of the role of homeroom teachers in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reinforcement of teacher expertise, and change in student perception were identified in the changes in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o enhance the collaboration awareness of teachers’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systematize the functions of providing and sharing accumulated information, and strengthen the cumulative function of students’ academic records linking grades in the onlin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