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기평가 수행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러한 프로파일과 피드백 리터러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생 60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기평가 수행 프로파일은 크게 ‘적극형(41.65%)’, ‘중간형(45.95%)’, ‘소극형(12.40%)’의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다른 프로파일과 비교해 볼 때, ‘적극형’은 모니터링에 의한 피드백 추구와 자기성찰 경향이 높은반면, ‘소극형’은 내적 피드백 추구 경향이 높고 자기성찰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자기평가 수행을 활발히 하는 ‘적극형’에 소속되는 경향을보였다. 셋째, 학생 자기평가 수행 프로파일 분류에 대한 피드백 리터러시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특히 피드백을 활용하여 다음 학습을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인 피드포워드(feedforward)와 인지적으로 피드백에 대한 기대감이 높을수록 자기평가 수행을 적극적으로 하는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학생 자기평가 수행 프로파일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의차이를 비교한 결과 ‘적극형’, ‘중간형’, ‘소극형’ 순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자기평가 수행의 실제적 양상 및 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개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self-assessment practic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feedback literacy,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605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the 3step method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ee latent profiles such as ‘active(41.65%)’, ‘moderate(45.95%)’ and ‘passive(12.40%)’ types were differentiated. Secondly, female students were more inclined to be classified as the ‘active’ type compared to male students, and there was an increasing likelihood of being in the ‘active’ category with higher grade levels. Thirdl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elf-assessment practice profiles were identified as feedforward which is the ability to apply feedback to their next learning, along with students’ expectation about feedback. Regarding the effects of student self-assessment practice profile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the ‘active’ type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s of both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Conversely, in the ‘passive’ typ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were observed to be the lowest. Ultimately, these findings will aid in understanding the attribute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assessment practices and in devi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ersonalized education tailored to students’ self-assessment. Additio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explored in alignment with recent trends that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student agency which is a crucial compe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