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창작된 신출 내방가사 <해운정유람가>를 소개하고, 이 작품을 근대 내방가사의 진로와 관련하여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해운정유람가>는 신행연을 계기로 친정에 모인 여성들이 문중 여행의 체험을 그린 장편 가사이다. 이 작품은 놀이문화에 대한 여성의 관심이 적극적으로 드러난 작품으로, 전통시대 여성의 능동성과 문화적 소양을 담아낸 작품으로 꼽을 수 있다. 동시에 이 작품은 신구가 교차하는 시대의 풍속도로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친정 방문의 계기가 된 혼례 장면과 가족 모임 묘사에서는 반가의 전통적 가족관계와 가문의식이 드러나고 있다. 동시에 이 작품에는 철도, 사진기, 유성기 등 근대 문물이 바꾼 풍경이 유람 체험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전통과 근대가 교차하는 시대의 징후를 포착한 이 작품은 1930년대 내방가사의 동시대성을 재구하는 데 유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끊임없이 발굴되고 보고되는 내방가사 신자료는 1930년대가 ‘규방가사 시대의 종언’이 아니라 여성의 소통과 기록의 방식으로 여전히 채택되었던 시기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이 시기 내방가사는 지역의 생활문화이자 가문 내 나아가 가문 간을 연결하는 매개의 장으로 여전히 유효했음을 웅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newly reported Naebanggasa “Haeunjeong Yuramga” created in the 1930s and reveal the meaning of this work in relation to the course of modern Naebanggasa. “Haeunjeong Yuramga” is a full-length lyric depicting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gathered at their parent’s house on the occasion of the New Year’s Festival and their family’s travels. This work actively reveals women’s interest in sightseeing and entertainment and can be considered a work that captures the activity and cultural knowledge of women in the traditional era. The traditional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y consciousness of the family are revealed in the wedding scenes and descriptions of family gatherings that serve as an opportunity to visit the parents’ home. At the same time, in this work, landscapes changed by modern civilization such as railroads, cameras, and phonographs are interspersed with sightseeing experiences. This work, which captures the signs of an era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 can be said to be useful data for reconstructing the contemporaneity of Naebanggasa in the 1930s. New data on Naebanggasa that has been continuously discovered and reported to date shows that the 1930s were not the ‘end of the Gyubanggasa era’ but a time when it was still adopted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and recording for wome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Naebanggasa during this period was still effective as a local living culture and a medium to connect within and between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