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조선 전기 시조 연구사 100년을 점검하고 향후 요청되는 과제에 대해 정리해 본 것이다. 현황 점검의 경우 지난 100년간의 조선 전기 시조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고 판단되는 강호시조, 오륜가, ‘오ᄂᆞ리’, 기녀시조 등을 중심으로 연구사적 흐름을 정리하였다. 조선 전기 시조 연구사는 강호시조 연구사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강호시조 연구가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조윤제의 강호가도론으로 시작된 강호시조 연구는 최진원에 의해 훨씬 심화되기에 이르렀는데, 그 핵심은 귀거래한 사대부가 강호에서 발견한 자연미의 성격을 탐구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연구 방향이 확장성에 한계를 드러냄에 따라 강호가도의 개념과 범주를 확대하는 새로운 시도가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 선구자는 김흥규였다. 그는 강호가도 또는 강호시조의 범주를 훨씬 넓게 파악하고 그 내부에 존재하는 개별적 차이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렇게 시작된 강호시조 연구의 새로운 경향은 이후 큰 흐름을 형성하게 되었다. 오륜가는 연구 초기에는 부정적 시선이 우세했으나 정철의 <훈민가>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하면서 긍정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훈민가>에 대한 관심으로 이 유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일어남에 따라 ‘훈민시조’라는 용어가 대세로 자리를 잡는 듯하다가 최근에는 다시 ‘오륜시조’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개념과 범주를 명확히 하자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강호시조와 오륜가 위주의 연구에 변화의 계기를 마련한 것이 ‘오ᄂᆞ리’에 대한 관심이었다. 처음에는 시조의 발생 문제를 논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시조사의 구도 및 작품 성격을 논하는 차원으로 확대되었다. 기녀시조는 작가가 조선시대 특수 신분인 기생이라는 점, 남녀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 서정시의 본령인 감성이 잘 나타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연구 비중이 크지는 않았지만 지속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연구사 현황 검토에 이어 질문이 필요한 과제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우선 시조사의 전개를 만대엽→중대엽→삭대엽의 단선적 구도로 파악하는 것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시조사의 초기적 국면에서는 각기 다르게 불리는 다양한 형식의 연시조가 존재했고, 형식적 제약이 느슨한 단가 형태의 노래들도 복수로 존재했다. 이들이 후대 어느 시점에 시조라는 동일 범주로 묶여 갔을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이른바 ‘가창의 필요성’에서 시조의 존재 이유를 찾는 것과 관련하여 자칫 이것이 시로서의 시조의 문학성을 간과할 위험성이 있음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노래로서 시조를 짓는 관습과 시로서 시조를 짓는 관습이 공존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노래로서 시조가 갖는 특성과 시로서 시조가 갖는 특성을 제대로 규명해 내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100-year history of research on Sijo works from the first half of Joseon and arrange future tasks. As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research, the study arranged the flows of the research history with a focus on Gangho Sijos(江湖時調), Oryungas(五倫歌), “Onari”, and Ginyeo Sijos(妓女時調) that were dealt with importantly in the research of Sijo works from the first half of Joseon for the last 100 years. Studies on Gangho Sijos hold such an overwhelming percentage in the research history of Sijo works from the first half of Joseon that it can easily be called the research history of Gangho Sijos. The study of Gangho Sijos that began with Jo Yun-je's Ganghogado Theory was even more intensified by Choi Jin-won. The core of such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natural beauty found in rivers and lakes by the nobility who returned home. As this research direction revealed its expansion limitations, a new attempt emerged to expand the concept and scope of Ganghogado(江湖歌道). Kim Heung-gyu pioneered the attempt. He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scope of Ganghogado or Gangho Sijos much more broadly and shedding light on individual differences within it. This new tendency of Gangho Sijos that began in this way formed a huge flow later. The negative viewpoint of Oryungas was dominant in the early days of their research, but it turned positive after full-blown studies on Jeong Cheol’s Hunminga(訓民歌) As there was a shift in the perception of this type due to the interest in Hunminga, the term “Hunmin Sijo” seemed to establish itself as the general trend. In recent years, they used the term “Oryun Sijo” again to make their concept and scope clear. It was interest in “Onari” that created a chance for changes to the research focused on Gangho Sijos and Oryungas. It first began as a discussion about the issue of Sijo’s origin but gradually expanded to discuss the composition of the Sijo history and the nature of Sijo works. The research of Ginyeo Sijos did not hold a big proportion in the history due to the special status of their writers who were Ginyeos in Joseon, a focus on issues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clear depiction of sensitivity as a character of lyrical poems. Following a review of the current research history, the study proposed two tasks that required a question. First, there is a need to reflect on the old practice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Sijo history in a linear structure of Mandaeyeop → Jungdaeyeop → Sakdaeyeop. There were various forms of Yeonsijos(聯詩調) which were called by different names and multiple songs in the Danga form whose form limitations were loose at the initial phase of the Sijo history. There is a big possibility that they were grouped in the same category of Sijos at a later point. Next, there is a need to be on alert for the risk of ignoring the literary nature of Sijos as a poem due to the attempts to find the reason for Sijos in the so-called “need for singing.” It seems that the custom of writing Sijos as a song coexisted with the custom of writing Sijos as a poem, and it is our task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ijos as a song and as a poem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