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비대상 야립광고물의 규제 관리 및 균형 있는 옥외광고 산업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정비대상 야립광고물의 광고주, 운영 기관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결과, 정비대상 야립광고의 현실적 기여점을 고려하여 제한적 양성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나타났다.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제공자들은 기금조성용 야립광고물의 공적 역할 및 매체 가치에 대해서는 대체로 인지하고 있었으나, 사업자 선정 및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불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정보제공자는 정비대상 야립광고물이 적법하지 않은 광고물임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광고주와 광고대행사 등 사업자들은 옥외광고물 법령 개정 이후 정비대상 야립광고물을 위법적으로 보는 것에 대해 불만을 나타냈다. 셋째, 기금조성용 야립광고물의 사업에 미치는 정비대상 야립광고물의 영향과 관련하여, 공공기관 전문가들은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본 반면, 광고주 및 광고대행사 사업자들은 대체로 큰 영향이 없다고 보았다. 넷째, 정비대상 야립광고물의 운영 관리 책임은 지자체에 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관리 이슈와 방안으로는 정비 대상 야립광고물의 실질적인 매체사업권을 일부 허용하자는 제한적 양성화 관련 의견이 다수 수집되었다. 마지막으로, 기금조성용 야립광고물 및 정비대상 야립광고물의 합리적 관리를 위해 여러 주체들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수집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to manage regulations on outdoor advertising for maintenance(OAM) and devel-op a balanced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outdoor advertising experts, a ‘limited training’ plan for OAM was suggested. Detail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awareness of the public role and media value of Fund-raising Outdoor Advertising(FOA), industry experts appeared to be dissat-isfied with the operating methods. Second, some experts agreed with the illegality of OAM, while some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such views. Third, public institution experts viewed a negative impact of OAM on FOA, while advertisers and advertising agency operators disagreed to such negative impact. Fourth,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OAM. Fifth, as an issue and plan for managing outdoor advertising subject to maintenance, a number of opinions were collected regarding the partial allowing of ‘media business rights’ for OAM. Lastly, discussions between various entities are suggested to be necessary for the rational management of FOA and O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