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를 비롯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노조 도구성 인식이 노동조합 가입 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복지노조 필요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시설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사회복지지부가 실시한 2023년 사회복지노동자 실태 및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조합원 475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노조 가입 의향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미시 차원의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독립변수는 기대효용이론에 근거한 노조 도구성으로, 종속변수는 노조 가입 의향으로 설정했다. 또 사회복지노조 필요성 인식을 매개변수로 두고, 인구사회학적 속성 및 시설 특성, 노조 공급 차원의 변수를 통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한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조 도구성 인식은 노조 가입 의향에 직접효과는 없었으나, 사회복지노조 필요성 인식을 거쳐 노조 가입 의향에 간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집단 분석 결과, 소규모 시설에 비해 30인 이상 시설 종사자들에게서 더욱 강한 경로계수가 발견되었다. 선행연구와 달리 사회복지사의 노조 도구성 인식은 직관적으로 설명되기 어려우며 사회복지시설의 특수한 제도적 환경이 반영되어 있다. 또 노조 가입에 관한 수요, 공급 차원의 변수들은 노조 가입 의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호한 사용종속 관계에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노동조합 활동과 관련하여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union instrumentality on their intention to join a union, alongsid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need for a social welfare union among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including social worker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se effects could differ by the size of institutions by analyzing the 2023 Social Worker Survey data collected from 475 non-union members. The data were administered by the Social Welfare Local of the Korean Public Service and Transport Workers’ Union(KPTU). Drawing on theories on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the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micro-level factor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erception of union instrumentality based on the expected utility theory,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In addition, this study controlled for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ce of a union.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dicated that perceived union instrumentality had no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However, the perceived need for a social work un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nion instrumentality and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SEM multigroup analysis also showed that large institutions with 30 or more workers had stronger path coefficients than smaller institutions.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ceptions of union instrumentality was not straightforward and influenced by the distinct context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demand and supply variables related to unionization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of the intention to join a un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the unionization of social workers in ambiguous subordinate labor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