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types of indirect written corrective feedback (coded and uncoded feedback) and revision on L2 learning. Eighty Korean EFL learners from five intact classes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Five classe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or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that differed in terms of (1) what type of indirect feedback they received and (2) whether they were asked to revise after the feedback session. The study employed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two treatment sessions. The linguistic target was the past counterfactual conditional. A written story-retelling task was used to measure any development in learners’ ability to use the target structure. Results showed an advantage for receiving indirect coded feedback over no feedback,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ded and uncoded feedback conditions. Revision opportunity (after WCF) did not significantly enhance the effects of indirect feedback. Furthermore, results indicated that coded indirect feedback itself was effective for improving learners’ ability to use the target structure, while uncoded indirect feedback was effective only when it was followed by revision when compared to no feedback condition.


본 연구는 간접 서면 수정적 피드백의 두 가지 유형 - 부호화된 피드백 (coded feedback)과 부호화되지 않은 피드백 (uncoded feedback) –과 수정하기 활동이 제2언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국내 한 대학의 다섯 개 반에서 수업을 듣는 총 80명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다섯 반은 통제 집단 또는 (1) 간접 피드백 유형(부호화된 피드백과 비부호화된 피드백) 및 (2) 피드백 세션 이후 수정하기 활동 여부에 따라 다른 네 개의 실험 집단 중 하나로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본 연구는 두 차례의 교육적 처치를 포함하는 사전 시험-사후 시험 설계를 사용하였다. 목표 언어 항목은 영어 가정법 과거완료였으며, 학습자들의 목표 언어 항목 사용 능력의 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이야기 다시 쓰기 과업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접 서면 피드백의 두 가지 유형인 부호화된 피드백 및 비부호화된 피드백이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학습자들이 목표 언어 항목을 사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우월한 효과를 나타냈지만, 부호화된 피드백과 비부보화된 피드백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서면 수정적 피드백 제공 이후 수정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간접 피드백의 전반적인 효과를 유의하게 향상시키지는 않았다. 나아가, 간접 피드백의 유형 중, 부호화된 피드백은 그 자체로(수정 기회 제공 없이도) 학습자들이 목표 언어 항목을 사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비부호화된 피드백은 수정 기회를 제공하지 않았을 때보다 수정 기회를 제공한 경우에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 교육적 시사점이 논의되었으며,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