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수는 인류 역사의 초기부터 어느 지역에나 존재했다. 순수예술, 공예, 디자인의 각 영역에서 작업을 이어갔으며 또한 포스트예술 시대에 위반, 혁신, 혼성의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자수는 아직도 이론과 비평은 물론 전시와 수상 등 예술 현장에서 비주류의 영역으로 배제와 폄하의 역사를 거듭하고 있다. 본고는 1940년대 후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수의 개념 분류와 평가 기준을되돌아보고 자수의 위치 찾기를 위한 인정의 미학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자수및 섬유예술을 둘러싼 친예술론, 친공예론, 분리론, 포스트예술/공예론의 입장을 분석한다. 또한 모더니즘 예술의지를 드러낸 추상 자수의 이중전략을 분석하고자수의 포스트미학을 예고한다. 이 글이 분석하는 자수작품의 작가는 송정인, 엄정윤, 이신자, 한상수 등이다.


Embroidery works have created in every region from the early days of human history. They have evolved in the field from craft to fine art. In post-art era, they offers the various progress of repudiation, innovation, and hybridity. However, embroideries have a history of exclusion and devaluation as a marginalized area in the art theory and criticism, as well as art practice in exhibitions, funding, awards, etc. In this essay, I explores the various aesthetics of recognition for positioning of embroidery by critically analysing the classificatory concepts and evaluative criteria of Korean abstract embroidery works from the late 1940s to the present. Firstly I analyzes the dual strategy of abstract embroidery as an artistic impulse for modernism art. secondly I concentrate on the debate of pro-art, pro-craft, divisionism, and post-art/craft theorists surrounding embroidery and textile art. Thirdly I examine a post-aesthetics of embroidery in the criticism of the works of Um Jeong-yoon, Song Jeong-in, Lee Shin-ja, and Han Sang-soo,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