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직업가치(내적, 외적)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와 내적 직업가치,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으며, 부모양육태도,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외적 직업가치와 각각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내적 직업가치와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양육태도와 외적 직업가치와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내적·외적 직업가치와의 관계에서 각각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양육태도와 내적·외적 직업가치와의 관계에서 각각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occupational value (internal and extern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internal occupational value,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 occupational valu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internal occupational value, it was found that self-identit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external occupational valu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internal and external occupational value, it was found that it was not significa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sequential double-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internal and external occupational value.